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수능을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과목, 자연계 논술이나 구술시험의 출제 범위에 속하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구
과학이나 물리처럼 선택하는 학생이 적은 과목이 불리한 것만은 아니라는 것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3이 되면 누구나 최선을 다하기 때문에 개인별로 공부하는 양과 속도는 비슷하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 ...
과학을 품은 조선 온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제 농업으로 더 건강에 좋은 먹거리를 만들거나 천연물로 신약을 만드는 것은 물론
지구
온난화 같은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식물을 만드는 등 우리의 미래를 만들고 있답니다. 이 씨앗을 임금에게 전해 주면 농업이 얼마나 중요한 지, 미래에 우리의 농업이 얼마나 발전했는지에 대해 느끼게 될 ... ...
썰렁홈즈와 함께하는 매머드 발굴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무서워! 썰렁홈즈, 여기서 뭐 하세요? 저는 오미야콘 매머드라고 해요. 저는 2002년에
지구
에서 가장 추운 시베리아 오미야콘에서 꽁꽁 언 채로 발견됐답니다. 저는 피부와 혈관 근육이 생생하게 남아 있어서 과학자들의 인기를 한몸에 받고 있어요. 만약 러시아와 일본과학자들이 매머드 복제에 ... ...
사고뭉치가 달라졌어요! 스쿨 필하모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저도 달라지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답답했거든요~.물론 할 수 있지! 하지만
지구
반대편에 있는 베네수엘라까지 올 필요는 없단다 .바로 새 학기부터 한국의 학교에서도 오케스트라와 밴드 활동이 시작되거든!우리 학교에도 오케스트라가?새 학기부터 전국 150개 학교에 학생 ... ...
Intro. 해양 미션 임파서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때문일까.아니다. 필요하지 않은 데다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간이
지구
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바다밖에 없다면 어떨까. 상상 속에서만 존재했던 ‘해저도시’가 절실해진다. 현재 과학과 기술이 해저도시를 만들 수 있을까. 육지에서처럼 편안하고 안전한 바다 생활이 보장될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탐사에 실험용 시계를 내려보냈다. 캐머런 감독은 수심 1만 900m에 달하는 마리아나 해구(
지구
에서 가장 깊은 해구)를 1인 잠수정을 타고 내려갔다. 롤렉스는 특수 제작된 실험용 시계 ‘딥씨 챌린지(Deepsea Challenge)’를 잠수정의 로봇팔에 달았다. 해저 1만2000m 수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딥씨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당신이 내가 봤던 것들을 ‘당신의 눈’으로 볼 수 있으면 좋을 텐데.”SF영화 ‘블레이드러너’에 나오는 복제인간 로이 배티가 자신의 눈을 만든 인간(한니발 츄)에게 던지는 ... 번씩 도는 외계행성(55 Cancri e). 반지름은
지구
보다 2배쯤 더 크지만 질량은 7.8배 더 무거운 슈퍼
지구
다. ... ...
중성미자 대결, 중국과 무승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변환상수는 상대적으로 작아서 지금 입자물리학계의 난제로 남아있다.중성미자는
지구
도 쉽게 통과할 정도로 물질과 반응하지 않아 검출이 어렵다. 매우 낮은 확률로 물질과 반응하곤 하는데 이 때를 이용해 검출해야 한다. 중성미자검출기는 이를 이용하기 위해 ‘섬광액체’와 미약한 빛도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어뢰를 개발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개발이 완료되면 이 어뢰를 피할 수 있는 잠수함은
지구
상에 없을 것이다. 바다에서 타는 것 중 일생에 한번 타볼까 말까 한 것이 잠수함이다. 심해를 빠른 속도로 유유히 돌아다니면서 군사 작전을 펼치는 잠수함은 물 속에서 언제 어디서 나타날지 모른다.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반응을 이용해
지구
에 인공 태양을 만들려고 하는 것이 바로 핵융합 발전이다.문제는
지구
에서 핵융합 발전이 가능하려면 1억℃라는 고온을 견디는 그릇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세상에 그런 그릇은 없다. 그래서 생각을 확 바꾼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왔다. 1억℃의 핵융합 물질을 직접 용기에 담는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