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BMW 속도 무제한의 비결은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볼 수 있다.BMW 가상현실스튜디오에는 파워월뿐 아니라 모서리 길이가 2.5m인 정육면체
형태
의 ‘전자 동굴’인 ‘케이브’(Cave)가 있다. 이 안에서 천장과 바닥, 그리고 세 벽을 이용해 3차원 이미지를 묘사한다. 마치 자동차 안에 들어앉은 것처럼 기어를 바꾸고 운전대를 잡아보기도 할 수 있다 ... ...
지구온난화로 최근 10년 가장 더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鐵礬石)이 라고도 한다두상(豆狀) · 토상(土狀) · 혹모양 · 단구상 등 여러 불규칙한
형태
를 이루고 있다굳기 13, 비중 20이다순수한 것은 회백색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산화철로 인해 적갈색을 띠고 있다 항공기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작은 조각 날개 표면이나 동체단면에서 복잡하게 변화하는 ... ...
3. 3·5·6월 3연타석 홈런치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끄집어냈다. 그는 플랑크의 연구 결과에서 에너지가 흡수됐다가 방출될 때 양자의
형태
로만 이뤄진다는 사실에 주목했다.아인슈타인은 이미 1902년부터 통계역학을 연구했는데, 가열된 물질의 에너지가 빛에너지로 바뀌는 방식을 통계적으로 연구하면서 빛 에너지가 알갱이로 이뤄져있다고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알아서 맞추거나 인터넷에서 내려받은 조리방법을 알려주기도 한다.얼마뒤 좀더 발전한
형태
로 등장한 것이 ‘미스터 자바’로 불리는 커피메이커다. 컵 주인이 누구인가에 따라 취향에 맞춰 커피를 내려먹을 수 있다. 또한 빈 커피 잔으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미스터 자바 ... ...
사이언스 온라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이주의 과학 연구논문, 연구리뷰, 보고서, 북리뷰, 전망 등의 주제에 따라 웹진
형태
로 구성돼있으며, PDF로도 이용할 수 있다. 또 하이와이어 저널을 선택하면 각종 과학관련 저널에서 원하는 논문을 찾을 수 있다. 사이언스리소스의 스코프 코너는 인간복제와 같은 다양한 과학논쟁을 포럼으로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관한 교과서가 출판된 것을 전후해 특수상대성이론은 과학자들 사이에서 분명한
형태
로 이해되기 시작했다.한편 특수상대성이론을 널리 알리는데 기여한 사람은 플랑크 뿐만 아니다. 상대성 이론을 처음 접한 영국 과학자들의 반응은 냉소적이었다.게다가 1914년에서 1918년까지는 전쟁 중이어서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구조대나무처럼 내부가 비어 있는 튜브 구조(왼쪽)는 초고층 건물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
다. ‘RC코어와 타워형 철골조’ 구조는 수평 무게를 견디기 위해 허리띠처럼 벨트 트러스를 설치했다. 타워팰리스 아파트에 적용된 구조다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갖는 전자의 반입자인 양전자는 양의 전하를 갖는다. 입자와 반입자가 만나면 빛의
형태
로 많은 에너지를 내며 소멸한다. 역으로 고에너지 입자들이 반응하면서 입자-반입자 쌍이 생성되기도 한다. 디랙에 따르면 모든 입자에 대해서 반입자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으로부터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플레이’가 많다. 인간의 단백질은 다른 하등동물보다 훨씬 더 분업화되고 전문화된
형태
로 협력하도록 진화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인간이 비슷한 유전자 수를 갖고서도 다른 동물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더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비결이다.작은 단백질들이 협력하는 ‘벌떼 작전’ 한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마침내 1899년 5월 18일 그는 전자기학과 열역학 제2 법칙을 토대로 빈의 공식을 일반적인
형태
로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하지만 플랑크가 흑체복사의 일반 공식을 발견했다는 기쁨도 잠시 뿐이었다. 얼마 후 PTR의 오토 룸머와 베를린대 실험물리 조교수인 에른스트 프링스 하임이 실험을 통해 높은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