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단일 결정이 얻어졌다. 만일 먼저 결정을 만들고 구멍을 뚫는 하향식 방법을 썼다면 이런
형태
를 만들기가 대단히 어렵다.연구자들은 “마이크로나 나노패턴의 결정을 만드는데는 상향식 방법이 중요하다”며 “생명체가 나노수준에서 결정화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한다면 좀더 완벽한 ... ...
물위를 걷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물에 떠서 앞뒤로 걷는 로봇을 개발했다”며 “6개월 내에 좀더 복잡하고 완성된
형태
의 로봇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평균 0.5인치의 몸통, 2인치 길이의 다리 8개를 가진 이 로봇은 물에 완전히 뜨지는 않지만 다리를 노처럼 이용해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소금쟁이는 물의 표면장력을 깰 ... ...
“보라호, 말 탄 것처럼 흔들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큰 특징은 주날개에 전진익을 적용한 것이었다. 전진익은 날개가 앞쪽으로 뻗어있는
형태
를 말한다. 주날개를 전진익으로 만들 경우 저속비행시에도 안전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조종사의 조종성도 좋아져 조종훈련용으로 적합하다. 특히 동급 항공기로는 세계 최초의 전진익기였다.또 전체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달한다.일본지질조사소는 일본 주변에 1백년 동안 쓸 수 있는 천연가스가 하이드레이트
형태
로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과 일본은 2010년경부터 이 물질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계획이다.지질자원연 류병재 박사는 “2000년부터 울릉 분지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탐사해 유망한 지역을 조사했다”며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많이 쓰게 된 이유는, 전선을 타고 퍼지는 전기가 빛, 소리, 열, 운동에너지 등 다른
형태
의 에너지로 쉽게 변환되고 원하는 곳에 언제든지 전기에너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장점 때문에 1866년 독일의 지멘스가 최초로 전자석을 사용한 발전기를 만든 이후, 전기에 대한 ... ...
내 손가락을 잡아 봐~봐~봐~!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수평방향의 힘에 의해 당겨지면 옆으로 늘어나 길쭉해진다. 마름모 모양이 옆으로 긴
형태
가 되면 힘을 주지 않았을 때보다 손가락을 위아래로 누르는 수직방향의 힘이 커져 손가락과의 마찰력이 증가하는 것이다. 손가락을 빼기 위해서는 노끈에 반대방향으로 힘을 줘 노끈과 손가락 사이에 약간의 ... ...
수도꼭지 와류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더 느려지면서 관을 따라 이런 흐름이 길어지는 와류현상이 발생했다. 이런
형태
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것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였다. 이번 연구는 과학저널 ‘사이언스’ 9월 10일자에 소개됐다 ... ...
다윈의 핀치 부리 다양성은 단백질 때문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발현 패턴이 조금씩 달라 부리
형태
의 미묘한 차이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결국 새로운
형태
의 부리는 새로운 유전자가 생겨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유전자의 발현 시기와 양의 변화로 나타난 것이다 ... ...
현대인에게 필요한 것은 운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일반 세포와 달리 근육세포는 세포 하나에 세포핵이 여러개 분포해 있다. 길쭉한 원통
형태
로 큰 것은 길이가 30cm에 달하므로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세포핵 하나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근육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즉 운동을 심하게 하면 근섬유가 손상되면서 조직을 재생하라는 신호를 내보낸다. ... ...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만주지도’는 프랑스 수학자 본이 만든 것으로 조선은 ‘꼬레’(Coree)로 적고 있고
형태
와 지명이 매우 정확하다. 이 지도에서 조선의 국경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넘어 북쪽으로 훨씬 올라가 있다. 독일인 하스와 뵈미우스가 그린 ‘아시아 지도’도 국경선이 압록강과 두만강 이북에 점선으로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