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한국
대한극장
극장
코리아
korea
d라이브러리
"
대한
"(으)로 총 10,255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01
화학자 에르베 티스와 헝가리 물리학자 니콜라스 쿠르티는 요리의 물리·화학적 측면에
대한
국제 워크숍을 준비하던 중 이 분야에 적합한 이름을 짓기로 했다. 에르베 티스가 ‘분자요리’(Molecular Gastronomy)라는 용어를 제안하자 니콜라스 쿠르티는 화학 냄새만 난다며 ‘분자물리요리’라고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01
해양연 강성길 연구원은 “선진국들은 많은 해양오염사고를 경험하면서 생태계 복원에
대한
노하우도 축적했다”며 “이들이 내놓을 조사보고서는 한국의 방제 당국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인재가 자연에 낸 상처가 빨리 아물 수 있도록 모두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01
종종 정약용의 제안을 그대로 받아들여 임금의 뜻으로 발표했다”며 “정약용의 학식에
대한
깊은 신뢰를 엿볼 수 있다”고 밝혔다. 수원 화성을 건축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정약용은 수원 화성의 설계 계획인 ‘성설’을 지어 정조에게 올렸고, 정조는 ‘어제성화주략’이라는 이름으로 공표했다.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01
설명한 ‘종의 기원’이 발간된지 150년이 되는 해다. 이제 인간이 만든 새로운 종에
대한
분야를 추가한 ‘종의 기원 2.0’이라도 나와야 할 것 같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특집02 세포창조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01
일이 가능하다고 예측했다. 하지만 생명의 버전을 업그레이드하는 일대 혁명 같은 일에
대한
비용치고는 너무 적다는 생각이 든다.리보솜*RNA와 단백질로 이뤄진 복합체로서 세포질 속에서 단백질을 합성한다.tRNA*단백질의 원료인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운반하는 전달RNA.▼관련기사를 계속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1
않았다. 이 사실은 TRPV1이 없는 생쥐가 고추의 매운맛을 전혀 느끼지 못하지만 열에
대한
감각을 완전히 잃지는 않는다는 위의 실험결과를 잘 설명해준다. 그런데 이들 네 가지 센서는 차가움에 반응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냉(冷)센서를 찾는 연구에 뛰어들었다. 치약의 감초, 멘톨20 ... ...
당신의 마음에 반창고를 붙여드려요
과학동아
l
200801
상실감과 우울증에 빠진다. 수술로 망가진 신체나 남아있는 가족에
대한
걱정, 지난 삶에
대한
회한으로 괴로워한다. 이때는 지나친 간섭을 피한 채 환자를 격려하고 지지해야 한다. 마지막은 죽음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수용(acceptance)의 단계로 이 시기에 환자들은 대개 지치고 쇠약해지며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01
글쓰기)라는 교양강좌를 듣게 됐다. 단 몇 주간의 수업에서 그동안 품고 있던 글쓰기에
대한
고정관념을 모두 날려버릴 만한 충격을 받았다. 그 뒤 과학 글쓰기란 정해진 원칙에 따라 연습하면 충분히 익힐 수 있는 일종의 ‘기술’이란 사실을 깨달았다. 이 책은 저자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01
한 표면에 입사한 다음 반사할 때, 반사된 에너지를 입사한 에너지로 나눈 값을 태양광에
대한
그 표면의 알베도라 한다 표면에 따라 다른 값을 보인다 식생의 알베도는 맨땅이나 모래의 그것보다 낮다지구대기권 내에서 비행 속도가 마하 4 이상인 고속비행을 극초음속비행이라고 말한다 참고로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01
쥐의 80% 이상을 공급할 정도로 규모가 커졌습니다. 축적된 연구결과와 실험쥐에
대한
신뢰성이 ‘실험 쥐=잭슨’의 명성을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잭슨연구소에서 만든 인브리드(inbreed) 쥐(같은 품종의 쥐와 교배한 쥐)의 종류는 30가지 이상인데, 이곳에서 인브리드 쥐의 ‘족보’를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