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한"(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재학교 학생은 이미 쓴다! 챗GPT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챗GPT를 이용해 공부하는 모습이 흔해지고 있다. 이에 각 시도 교육청은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교원 연수를 진행하고 있고, 교육부는 ‘챗GPT 활용 가이드라인’을 7월 배포할 예정이다. 챗GPT로 인해 교육 방법도, 공부법도 달라질 거라는 건데, 학생들의 걱정이 커질 수밖에. 그래서 가 ... ...
- 영재학교 학생이 말하는 챗GPT 주의사항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챗GPT 포럼’에서 알게 됐는데, 챗GPT에 실제 존재하지 않는 ‘콘크리트 먹기 대회’에 대한 기사를 쓰라고 하면 진짜 있었던 일처럼 기사를 쓰더라고요. 앞으로 가짜 뉴스가 많이 나올 것 같아서 걱정돼요. 임예온 챗GPT 답변에 의존하면 절대 안돼요! 답변이 맞는지, 그 근거는 무엇인지, 출처는 ... ...
- 토론 2. 챗GPT, 미래에 든든한 조력자일까? 거짓 정보 확산 역할일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신뢰성이 높아진다고 하셨죠? 그런데 그렇기때문에 악의를 가진 사람이 특정 사람에 대한 안 좋은 글을 많이 올리면 어떨까요. 그 정보를 많은 사람이 받아들이면요? 조력자라고 할 수 있나요? 손세연 GPT-4에서 환각 현상이 줄었을까요? 아무리 버전이 높아져도 대규모 언어 모형인 이상 사실과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2023 한국과학영재학교 합격 비결은 수학 아이디어 공책x폴리매스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자로 배열해야 풀리는 조합 문제를 풀고 나니, 초등학교 때 에서 본 폴리매스 대한수학회 2번 문제를 풀 수 있을 것 같아서 다시 그 문제에 도전했어요. 제 수학 아이디어 공책에 있는 문제 해결 전략을 참고했어요. 그림을 그래프로 바꾼 후 원순열의 경우의 수를 찾는 방법인 ‘번사이드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그는 “푸드 프린팅 기술이 그리는 미래는, 주방에서의 노동을 대신하기보다 식품에 대한 전환을 끌어내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이 교수는 먹음직스러운 베이컨을 예로 들었습니다. 프라이팬에 지글지글 구운 베이컨은 천상의 기름맛을 선물하지만, 몸속에 들어가 동맥경화를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진화의 땅에 발령된 호기심 전염주의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읽고 있는 여러분 중 누군가와 언젠가는 이런 진화의 비밀을 함께 풀어나갈 수 있기를 고대한다. ※ 편집자 주 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미지의 유인원’ 연재를 마칩니다.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세인 이화여대 행동생태연구실 영장류 연구팀 소속으로 스위스 로잔대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만들고, 검토하고, 수정하는 과정이 프로그래밍과 똑같다는 뜻이다. 처치는 기계에 대한 생각은 하지 않았지만, 람다 계산법은 ‘튜링-완전(turing-complete)’한 언어다. 튜링-완전하다는 것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계적인 계산은 뭐든 표현할 수 있다는 의미다. 때문에 이 교수는 “튜링 기계와 람다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공학의 발전을 자극할 것이다.이러한 선순환은 우리와 우리의 뇌가 어떤 존재인지에 대한 더 심오한 이해를 가능케 할 것이다. 또한 인간처럼 계산하는 바이오컴퓨터를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바야흐로 뇌과학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선웅 고려대 의대 교수. 신경발생학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크게 웃었다. 제니는 선재의 손을 잡고 손가락을 하나씩 천천히 굽혔다.“진중하고 위대한 거 말고, 쓸데없는 거 궁금해하면서 살아. 파도는 왜 하얀색인가, 해가 뜨지 않아도 무지개는 뜨는가, 이런 거.” “저 포기 안 해요, 할머니.”제니의 마음을 읽고 있다는 듯, 선재가 단번에 대답했다. 선재의 ... ...
- [특집] 광메타물질로 홀로그램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똑같은 소재를 쓰더라도 나노 구조를 어떻게 깎고 배열하는가에 따라서 빛에 대한 반응이 매우 달라진다”며 “영화처럼 큰 입체 홀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실험실 수준으로는 5년 정도 뒤를 예상하며, 10년쯤 뒤엔 제품으로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메타물질은 수학적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