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자취
자취
흔적
발자욱
종적
냄새자국
d라이브러리
"
발자국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발견된 이후 일본에서도 경상층군과 대비되는 지층 에서 매우 단편적이지만 조각류의
발자국
들이 발견돼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중생대 동부아시아 지역 해륙의 분포, 즉 고지리해석에 빼놓을 수 없는 자료가 될 것이다.공룡의 이빨화석은 현재까지 5~6개가 발견됐다. 이들은 대개 카마라사우리데 ... ...
미래의 과학자 키우는 전세계 화학인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비공식 모임을 주재하였다. 미국이라는 큰 나라가 ICHO를 주최하기 위하여 4년동안 한
발자국
씩 차근차근 계획서에 따라 진행해 왔다는 것을 알고 놀랐다. 미국이 ICHO에 처음 참가한 것은 1984년부터인데 당시 미국화학회(ACS) 후원하에 16회 ICHO참가를 주도했고 또 8년후인 이번 ICHO를 미국에서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시작했다. '걸어다니는 트럭'이라고 명명한 높이 3m, 무게 1.5t의 트럭은 자동엔진으로 한
발자국
씩 네 다리를 움직여 약 5마일의 속도로 걸어다녔다. 그러나 그것을 조종하는 운전자에게는 고역이었다. 모두 12개의 관절마디를 수동식으로 조정하는 것은 너무 힘든 작업이었다. 거인이 걸음마를 배우는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상태로 굳어지고 다시 그 위에 다른 퇴적물이 덮여 암석으로 굳어진 것이다. 현재 우리가
발자국
화석을 지표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은 그 위에 덮인 지층들이 다시 침식을 받아 제거됐기 때문이다.하위지층에서 상위지층으로 갈수록 '무척추동물→어류→양서류→파충류→조류→포유류' 등의 순서로 ... ...
실리콘밸리의 아침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들고 있다. 실리콘밸리(Silicon Valley)가 현대에 내디딘 거보도 실은 조그마한 파리(fly)의
발자국
소리에서부터 시작됐다. 전자공학의 역사상 한 중요한 실험이 1906년 팔로알토(Palo Alto) 에머슨로 913번지에서 있었다. 후덥지근한 여름, 드포레스트와 동료 연구원들이 지켜 본 것은 백지 위를 걸어다니는 ... ...
동물계의Mr. 클린 오소리 "나와 너구리를 같이 취급하지 말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박씨가 야생동물이 많기로 유명한 화원면 비슬산에서 사냥을 하던중 사냥개가 오소리
발자국
을 발견했다. 잠시 후 오소리의 비명과 사냥개의 짖는 소리가 들려왔다. 박씨가 급히 달려 가서 보니 이미 오소리는 외상을 당한 채 늘어져 있었고 사냥개는 혀를 길게 빼고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사냥에 ... ...
1백m를 10초내에 주파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방식을 취했다.이에따르면 가장 빠른 속도는 체중 5백㎏ 정도의 2족보행 공룡(텍사스에서
발자국
발견)의 12m/초. 이 수치는 가장 우수한 단거리 선수의 기록보다 약간 빠른 것이다. 대형공룡의 속도는 여기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대형인 사우로포드류는 약 1m/초로 사람이 걷는 속도에 불과하다.대형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적용되는 거리이고 오른손잡이타자는 한
발자국
더 먼거리를 달려야 한다. 이 한
발자국
은 1루에서 사느냐 죽느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한편 자신의 타구가 2루타 또는 3루타성이라고 판단되면 약간 원을 그리면서 달리는 것이 좋다. 인간의 몸은 직각으로 방향을 트는데 익숙하지 않기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조사하다가 우연히 새의
발자국
화석을 발견한 것도 매우 소중한 성과다. 중생대 조류의
발자국
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문 편이어서 특히 학문적 가치가 큰 것이다.척추동물 화석중에서 이빨화석이 가장 잘 보존되고 있다. 또 이빨화석은 화석동물을 동정(同定)하는데도 다른 골격화석에 비해 매우 ... ...
의족보행자도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정신적 위안까지 제공하는 「촉감시스템」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유효하다. 보트사고로 다리를 잃은 전직 댄스강사 홀리 하워드는 촉감시스템 덕분에 두
발자국
만 옮기면 자신의 발이 어디 있는가를 알아낼 수 있게 되었다고 고마워 한다. 촉감시스템이 균형잡기에 편리하다는 점은 당뇨병 환자에게도 희소식이 될 수 있다. 실제로 균형감각이 없어져 제대로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