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자취
자취
흔적
발자욱
종적
냄새자국
d라이브러리
"
발자국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1억5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한 공룡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말았던 것으로 해석된다. 당시 화산체 주변 지층에서는 아직까지 공룡의 골격이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 화산활동으로 인한 독가스들이 공룡의 멸종을 가져왔을 가능성도 다분히 있는 만큼 범세계적으로 확대 적용하는 문제는 많은 연구가 속행되어야 풀릴 수 있을 것이다. 사실 ... ...
체중500g까지 살려낸다 초 미숙아를 기르는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하지 않는 유일한 기관이다. 따라서 이런 방법으로 미숙아의 생육가능 한계가 또 한
발자국
앞으로 나가게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미숙아 치료는 어디까지 갈 것인가그러나 거의 모든 의료전문가는 의학상의 방법이 태아가 자궁 속에서 지내야할 최초의 중요한 몇개월을 대신할 수 있게는 결코 할수 ... ...
코끼리 코가 생존에 가장 중요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넓은 지역의 초원에서 살고 있다.버마의 해발 3천미터 이상의 고지대 눈위에서 코끼리의
발자국
을 발견한 일도 있다.코끼리들은 대개 모계 중심으로 50~60마리, 때로는 수백마리가 한 떼를 이뤄 광대한 지역을 이동, 유목생활을 한다. 수컷들은 자기들끼리 작은 무리를 만들거나 어미나 새끼들의 ... ...
집요한 추적, 능률적인 집단해동 늑대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뒷발로 밟고 지나가므로 두 발 가진 짐승으로 오인하기 쉽다. 암컷의
발자국
은 수컷의
발자국
보다 조금 길고 좁다. 또 늑대의 눈에서는 호랑이와 마찬가지로 불쾌하게 느껴지는 밝은 빛이 난다.늑대의 모정늑대는 사냥터 가까이 전망이 좋은 곳을 선택, 보금자리를 꾸민다. 여우나 오소리가 살던 굴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세밀하여 우수한 학자의 연구보고서로 설득력이 있다.네시의 애매한 사진이나 설인의
발자국
과 같은 자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구체적이고 세세한 부분까지 설명이 되어 있다.만약 실제의 것이 표본으로서 남아 있었다고 하면 틀림없이 동물학상으로 '금세기 최대의 발견!'이라고 전세계를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한다.가장 빠른 공룡은 1981년 미국 텍사스주 크레타시어스 저지에서 발견된 것. 공룡의
발자국
으로 미루어 보아 시속 40㎞로 움직였을 것으로 추측된다.가장 빠른 세균은 막대모양으로 생긴 보델로비브리오 박테리오보라스. 이 세균에 부착된 극성 편모가 1초당 1백번 회전하면 자신의 몸길이(0.001㎜ ... ...
호랑이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먹이를 찾아서 하루에 활동하는 범위는 보통 2백~2백리.한 걸음은 80㎝이며 항상 뒷발은 앞
발자국
을 되밟는 성질이 있다. 뛰는 속도도 매우 빠르며 점프력은 4m에 달한다. 큰 바위나 높은 곳에서 아래로 점프할 때에는 10m까지도 뛰어 내린다고 한다.또 수영을 잘 하며, 무더운 여름에는 계곡의 신선한 ... ...
특수견(犬)의 능력과 훈련모습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그 어린이가 입었던 옷을 가져와서 냄새맡게 한 뒤 추척시킨다. 추적견은 사람의
발자국
냄새만 가지고도 뒤를 쫒을 수 있을 정도다. 대표적인 추적격인 브러드하운드는 비가 내린 날이라 할지라도 48시간 이내에는 어떤 냄새도 쫒아간다. 폭발물 탐지견과 만나면 선진국에서는 VIP의 경호, 공항이나 ... ...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시동물천국 태스매니아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이곳의 풍토를 잘 말해준다. 쓰레기는 모두 모아 가지고 돌아간다. 이곳에 남는 것은
발자국
뿐이다. 이런 단순하면서도 가장 중요한 것을 실천하고 있으므로 자연이 옛날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한다 ... ...
PART 1 인류진화의 새이론 검은피부의 「이브」가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가 살았음이 이디오피아에 발굴된 화석 '루시'와 탄자니아에서 발굴된 '라에트리'
발자국
에서 입증됐다. 이들은 작은 뇌를 가졌지만 땅위에서 생활했고 직립보행을 했으며 나무나 자연물을 도구로 사용했다고 추정된다. 그후 '루시'와 비슷하지만 뇌용량이 보다 큰 '호모하빌리스'가 1백75만년전까지 ... ...
이전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