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이옥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폭발사고가 일어난 뒤 근로자들에게 피부질환이 나타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사람은 다이옥신 하면 1965년부터 시작된 베트남전에 쓰인 고엽제(제초제)를 떠올린다. 여기에 든 다이옥신 탓에 참전군인들이 고엽제 후유증에 시달렸기 때문이다. 2004년에는 우크라이나의 정치인 빅토르 ... ...
겨울 별미로 거듭난 꽁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우리나라
연해에서 조업하는 꽁치잡이 어선들은 대개 봉수망 대신 유자망을 사용한다.
우리나라
로 회유해 오는 꽁치는 산란을 앞두고 있으며 주광성이 약해 불빛으로 유인하기 힘들다. 대신 꽁치가 수면 가까이에서 헤엄치는 습성을 활용하기 위해 유자망을 동원한다. 즉 꽁치가 지나다니는 길목을 ... ...
마르지 않은 태안의 검은 눈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의한 인체위해성 평가에 사용된다.벤조피렌 등가치 3.35ng/g체중이 60kg인 성인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어패류 섭취량인 86g을 2년간 먹었을 경우, 평균수명 70세 이내에 발암가능성이 있음을 뜻한다 ... ...
버릴 곳 없는 국민생선 명태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부른다.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찾아서1~5’(청어람미디어) 등이 있다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환자 자신의 피부세포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만드는 유도다기능줄기세포가 탄생했고,
우리나라
에서는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논란이 과학계를 뜨겁게 달궜다. 국내외 10대 과학뉴스로 지난해를 되돌아봤다.“세포 재프로그래밍 연구는 생물학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불치병을 앓고 있는 수많은 ... ...
새해는 1초 늦게 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한 번씩 1초를 더하는‘윤초’가 생겨났어요. 이 때문에 *세계협정시를 기준으로 해서
우리나라
에서는 2009년 1월 1일 오전 8시 59분 59초 다음에 60초를 거쳐 9시를 맞게 된답니다 ... ...
퍼져라~! 행복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심리학과 서은국 교수가 2007년 발표한 연구 결과를 보면 행복한 마음을 표현하길 꺼리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행복을 잘 표현하는 서양사람보다 행복지수가 낮아. 행복감을 표현하지 않고 꾹 참아 봐!점점 불행하다고 느껴질 거야!텔레비전과 하루 종일!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연구팀이 30년간 3만 명의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170분의 1.세계에서 영토가 가장 넓은 나라인 러시아(1707만km2)에 비하면 면적이 10만km2가 채 안 되는
우리나라
(남한)는 ‘자투리 땅’이라고 부를 만하다. 김포 ... 기록을 세우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2004년 시작한 ‘하늘에서 본 한국’ 프로젝트로
우리나라
에 남다른 애정을 느낀다고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에너지를 전지에 모아 전기에너지로 저장한다.운동_시속 70km가 ‘경제속력’ 된 이유
우리나라
에서는 자동차 세금을 정할 때 엔진 배기량을 기준으로 삼는다. 배기량이란 엔진이 연료를 태워 배출하는 기체의 부피를 말한다. 가솔린이나 디젤이 산소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배출하는 화학에너지를 ... ...
[생물학]세계에서 가장 긴 곤충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 암시하듯 길쭉한 몸통이 대나무 가지를 연상케 한다. 대벌레는 3000여 종이 있는데,
우리나라
에 사는 대벌레 종류는 몸길이가 10cm 내외다.말레이시아의 아마추어 곤충연구가 다툭 찬이 발견한 이 신종 대벌레는 그 뒤 2마리가 추가로 더 발견됐다. 다툭 찬은 신종 대벌레를 영국자연사박물관에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