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다른 이의 마음을 어떻게 읽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바꾸고, 감정을 함께 느끼고사람의 마음을 읽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입장 바꿔 생각해보는 ‘조망수용’이다. 예컨대 어떤 사람이 사소한 일로 버럭 화를 냈을 때 왜 저러는지 이해하기 힘들다. 그런데 그 사람이 그날따라 아침부터 운이 나빠서 버스와 지하철을 연달아 놓치고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차는 아마추어 축구선수다. 대학시절에는 득점왕을 차지했던 뛰어난 공격수였다. 공 하나로 소통하는 축구의 미덕을 닮아서일까. 그의 고분자 나노소재 연구실은 고분자팀과 나노소재팀으로 나뉘어 있지만 서로 간의 소통에 적극적이다. 화학과 화공, 고분자, 에너지, 생물, 나노소재 등 각기 다른 ... ...
-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또 빨리 달리는 만큼 빨리 멈출 수 있는 제동력도 꼭 갖춰야 하지요. 그래서 최근에는 하나의 엔진으로 뒤의 열차를 끌고가는 ‘동력집중식’이 아니라, 각 열차에 엔진이 달린 ‘동력분산식’ 열차가 개발되는 추세예요. 엔진이 나눠져 있으면 더 빨리 가속할 수 있고, 더 빨리 멈출 수도 있거든요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사용하기 때문에 누가 봐도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또 괄호를 이용해 하나의 명령을 다른 명령과 구분하는 C언어와 달리, 파이썬은 들여쓰기로 덩어리를 나누어요. 이러면 코드만 봐도 명령 덩어리가 몇 개인지 바로 알 수 있겠죠? 파이썬은 아직 C언어보다 사용하는 곳은 적지만,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수한 고등학생이라면 풀 수 있는 문제인 만큼 반드시 온라인상에서만 풀자고 규칙을 하나 더 추가했다. 떠오른 아이디어나 수식 전개를 연습장에 적지 말라는 것이다.그 결과 새로운 증명법 6가지를 더 발견했다. 수학자들은 2012년까지 매해 그해 가장 어려웠던 문제를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통해 ... ...
- [지식] 에르되시도 인정한 고난이도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난제 7개를 뽑아 각 문제별로 해결하는 사람에게 상금 100만 달러를 준다고 했던 걸 기억하나요? 이 상금을 건 곳이 바로 ‘클레이 수학연구소’입니다. 이곳에서 매년 훌륭한 논문을 쓴 사람에게 상을 주고 있는데, 구스와 카츠가 바로 이 연구로 상을 받은 것이지요.에르되시 거리 문제와 관련된 ...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대한 목마름을 넣어두자. 어차피 우리는 노벨상을 기대하기에 이르다. 운이 좋으면 하나나 두 개의 노벨상을 때 이르게 받을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게 다다. 연구비 조금 줬다고 보고서 내놓으라 폭탄 던지지 말고, 이제 좀 살 만하다고 노벨상 언제 나오냐고 채근하지 말자. 그 대신 노벨상을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 제안의 깊이나 창의성, 혁신성보다는, ‘과제수행 잠재력’이라는 이름으로 (그저 하나의 기준인) 논문을 얼마나 많이 냈는지, 논문을 낸 저널의 피인용지수(임팩트 팩터·논문이 얼마나 인용됐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에 의존해 평가하게 된다”고 한탄했다. 한국연구재단 관계자는 “문제를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외부로부터 지원받는 연구비를 포함하면 총 예산은 약 720억 원(5000만 파운드)이 된다. 하나의 연구 그룹에 평균 13억 원 정도가 주어지는 셈이다. 행정직원 인건비를 포함해 연구원 1인당 연구비가 1억1813만 원 정도다(총 623명).이 정도는 한국의 정부출연연구기관 예산과 비교했을 때 결코 많은 금액이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혈연관계는 이타적 행동을 통해 행위자의 포괄 적합도를 증가시키는 여러 경로 중의 하나일 뿐이다. 그러므로 해밀턴이 찾아낸 자연선택 과정을 혈연 선택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됐다.엇나간 두 거인, 메이나드 스미스와 해밀턴행여나 메이나드 스미스가 젊은 대학원생들의 성과를 무단으로 ... ...
이전3913923933943953963973983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