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다른 이의 마음을 어떻게 읽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바꾸고, 감정을 함께 느끼고사람의 마음을 읽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입장 바꿔 생각해보는 ‘조망수용’이다. 예컨대 어떤 사람이 사소한 일로 버럭 화를 냈을 때 왜 저러는지 이해하기 힘들다. 그런데 그 사람이 그날따라 아침부터 운이 나빠서 버스와 지하철을 연달아 놓치고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않았다. 의견은 다수가 모으지만 죄를 짓는 사람의 수를 줄이기 위해 판결과 집행을 하나의 개체가 담당한다는 사실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었다.“회수라면…?”이번에는 윤환이 손가락을 들어 비니를 두드렸다.“시간이 흐르면 더욱 더 지구인에 가까운 사람들이 생길 거예요. 조직적으로 지구의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수한 고등학생이라면 풀 수 있는 문제인 만큼 반드시 온라인상에서만 풀자고 규칙을 하나 더 추가했다. 떠오른 아이디어나 수식 전개를 연습장에 적지 말라는 것이다.그 결과 새로운 증명법 6가지를 더 발견했다. 수학자들은 2012년까지 매해 그해 가장 어려웠던 문제를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통해 ...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대한 목마름을 넣어두자. 어차피 우리는 노벨상을 기대하기에 이르다. 운이 좋으면 하나나 두 개의 노벨상을 때 이르게 받을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게 다다. 연구비 조금 줬다고 보고서 내놓으라 폭탄 던지지 말고, 이제 좀 살 만하다고 노벨상 언제 나오냐고 채근하지 말자. 그 대신 노벨상을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외부로부터 지원받는 연구비를 포함하면 총 예산은 약 720억 원(5000만 파운드)이 된다. 하나의 연구 그룹에 평균 13억 원 정도가 주어지는 셈이다. 행정직원 인건비를 포함해 연구원 1인당 연구비가 1억1813만 원 정도다(총 623명).이 정도는 한국의 정부출연연구기관 예산과 비교했을 때 결코 많은 금액이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잘하는 사람이 오랜만에 운전대를 잡아도 차를 잘 몰고, 김연아 선수가 동작을 하나하나 신경 쓰지 않고도 매끄럽게 갈라쇼를 해내며, 미국인이 아무리 연습해도 한국어를 어눌하게 발음하는 이유는 각각 운전 기술과 피겨 동작, 영어 발음을 수백만 번 반복해 습관화됐기 때문이다.벼락치기도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목표가 아닌 유전자에도 달라붙는 쓸모없는 프라이머가 다수 포함돼 있다. 연구자가 하나하나 직접 적합성을 테스트한 뒤 가장 적합한 프라이머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전문성 × 신뢰]MRprimerW는 DGIST가 개최한 융합세미나(현재 명칭 Monday Lunch Seminar)와 연구비 지원이 있었기에 탄생할수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기가 흐를 수 있답니다. 가장 쉽게 만들 수 있는 전해질 중 하나가 바로 소금물이에요. 보통 물엔 전기가 통하지 않지만, 소금을 물에 녹이면 나트륨 이온과 염소 이온으로 나뉘어 전해질로 변해 전기가 통하지요.그렇다면 설탕은 어떨까요? 설탕은 물에 녹아도 이온으로 나뉘지 ...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5명만 되도 칼질해야 하는 수가 우주의 원자 수보다도 많아져 케이크 부스러기가 원자 하나보다 작아질 수 있겠지요. 하지만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습니다. 앞으로 이 방법을 토대로 공평하게 나누는 방법에 관한 연구에 큰 진전이 있지 않을까요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정서가 조성돼 성공적인 수학 교육의 통합을 이뤄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통일 뒤 또 하나의 문제는 반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생긴 편견이다. 북한 출신 학생을 많이 접한 전형국 교사는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한국 학생들과 여명학교 학생들이 교류하는 프로그램이 있었어요.그때 한 ... ...
이전3933943953963973983994004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