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바이오브릭을 골라 합치면 된다. 종류에 따라 알맞은 효소로 바이오브릭을 이어붙여 하나의 유전자를 만들 수 있다.4단계유전자 넣기유전자를 바꾸고 싶은 생물체에 내가 만든 유전자를 넣는다. 이때 합성한 유전자만으로는 세포를 둘러싸는 막을 만들 수 없다. 그래서 기존 생물에 합성한 유전자를 ... ...
- 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카메라에는 넓은 범위를 한 번에 담을 수 있는 ‘광각 렌즈’가 1~2개 달려 있어요. 렌즈 하나로 벽 세 개와 천장을 동시에 찍는 셈이죠. 그래서 렌즈 두 개만 있어도 내 방 풍경을 한꺼번에 담을 수 있답니다.영상에 감각을 더하면 가상현실이 더 생생~!가상현실을 좀 더 생생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꽃집 주인 ‘ 무란조도 꼬필래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MISSION 1 꽃들에게 물 주기!‘무란조도 꼬필래용’의 안내에 따라 카네이션 꽃밭을 둘러본 썰렁홈즈. 우선 꽃들이 시들시들하니 물부터 주어 죽어가는 꽃들을 살리자고 ... 폭풍 눈물을흘려야만 했다.“높고 높은 하늘이라 말들 하지만 나는 나는 높은게 또하나 있지~, 낳으시고 기르시는 ... ...
- [지식] 엑소 EX’ACT에 드리운 수학 그림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이용한 디자인일 뿐 수학적인 의미는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네티즌은 알파벳 하나하나를 집합으로 보고, 알파벳 O를 숫자 0, 화살표를 두 집합을 연결하는 함수, 연결된 집합 모두가 수학적으로 같다고 가정하면 exact 수열이 된다고 주장했다. 과연 누구의 말이 맞을까?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 ...
- Part 2. 마녀와 악마의 곡선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내가 들고 있는 이 장난감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디아볼로(diabolo)’이고. 알파벳이 딱 하나 달라.”그 다음 벨페고르는 숫자 ‘8’을 끼고 있는 곡선을 보여줬어요.“그런데 이 곡선은 디아볼로 장난감과 무척 비슷하게 생겼어. 그래서 디아볼로라고 불리다가 악마를 뜻하는 디아볼로라고 오해한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해결사, ‘질문 보드’아이들은 수업 전에 미리 디딤 영상을 보며 느낀 질문 가운데 하나를 골라 ‘질문 보드(Question Board)’에 붙인다. 질문 보드는 첫 번째 알파벳을 따 ‘QB’라고 부른다. QB에 공통적으로 많이 붙은 질문은 수업 시간에 반 전체에 설명하고, 개별 질문에 대해서는 일대일로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후각 메커니즘을 밝혀 2004년 노벨상을 받았다. 후각수용체 유전자 하나가 화학물질 하나를 담당한다. 인간의 경우,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후각수용체 유전자의 수는 약 400개다.물성딱딱한 초콜릿이 입안에서 사르르 녹을 때단단한 듯하지만 입안에서 쉽게 부서지며 부드러워지거나, 딱딱한 것이 ...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고된 길을 거치고도 살아남은 만큼 생존력과 번식력이 강한 종들이다.그런 침입종 중 하나가 가시상추다. 유영한 공주대 생물학과 교수는 “7년 전부터 공주 지역에서 가시상추가 갑자기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그때가 이 지역에 공사가 많아지던 때”라고 말했다. 도로를 따라 퍼지기 시작한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시기에 살았다. 신체 특성도 두 종의 중간이었다. 연골로 된 네 다리가 뚜렷했다. 위팔뼈 하나와, 노뼈와 자뼈 두 개로 이뤄진 아래팔뼈, 그리고 손목뼈를 갖추고 있었다. 손목뼈가 있는 어류는 처음이었다. 다만 손가락은 없었는데, 대신 그 자리에 피부세포가 변한 지느러미가 있었다. 이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130개국 중 뒤에서 15번째로 행복한 나라였다. 한국 사람들이 불행하다고 느낀 이유 중 하나는 ‘경제적 문제’였다. 하지만 알다시피 한국이 경제적으로 115번째로 밀릴 만큼 빈곤한 나라가 아니다. 연구자들은 한국 사회가 불행한 진짜 이유를 찾기 시작했는데, 그 중 눈에 띄는 것은 한국의 집단주의 ... ...
이전3973983994004014024034044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