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훈련은 끝났다. 이제는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결승점까지 남은 2주. 숱하게 반복해온 동작은 몸에 익을 대로 익었다. 이제 남은 것은 하나. 최고의 경기력을 위한 최상의 몸과 마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컨디션을 끌어올리는, ‘컨디셔닝’이 필요한 때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훈련은 끝났다. 이제는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능력이나 상태를 수치화하는 것이다. 다만 선수 개개인의 생리적 편차가 크기 때문에 하나의 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선수들의 개개인에 대한 데이터가 많이 축적되면 좀 더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누구의 힘이 얼마나 셀까?또래보다 키가 큰 김도형 군(서울 ... ...
- [Tech & Fun] 공포는 사람을 편협하게 한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두드러졌는데, 실제 공포는 실험보다 더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공포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도 사람들은 배타적인 모습을 보인다. 불확실성을 잘 견디지못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한민족’과 같은 민족주의적인 가치를 선호한다. 피부색이 같은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나아가 이들의 기능까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만 개가 넘는 신경세포를 하나씩 연구하는 것도 까다롭지만, 그것의 연결을 살펴보는 것은 경우의 수가 훨씬 더 많다. 수학과 컴퓨터의 도움이 필수다.DGIST는 이런 연구를 하기에 최적의 장소다. 학생들이 매일 모여 토론을 하는 연구실 ... ...
-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연구를 하고, 양질의 논문을 낸다고 인정받는다”며 “‘우리 선생님’께서도 논문 하나를 내더라도 정말 새로운 것을 하라고 하셨다”고 말했다.‘선생님’이 도대체 누구예요?민 교수를 인터뷰하면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는 ‘우리 선생님’이었다. 그 선생님의 정체는 미국 칼텍 석좌교수였던 ... ...
- PART 2. 파랑을 만드는 마법사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빛의 색깔이 달라진다. 사람이 만든 파랑파랑은 지금도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색깔 중 하나이며, 자연에 흔하지 않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이다. 이미 18세기부터 과학자들은 화학적으로 파랑을 만들고 있다. 탄산나트룸과 황, 알루미노규산염 등을 섞어 만드는 울트라마린블루, 코발트염과 ... ...
- [지식] 인생은 게임이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봤어?”, “해영이 신발 한정판이래.”, “해영이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한대.”해영이 하나 이기겠다고 놀지도 쉬지도 못하고 매일 밤새 공부해요. 또 화젯거리를 만들려고 라디오에 사연도 보내고, 가수 오디션도 봐요. 용돈 생기면 옷 사고, 신발 사고 이러다 보니 진짜 사고 싶은 건 사지도 ...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부등식을 풀어야 증명이 끝나는데, 이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보조정리 하나만 증명하면 되는 시점이 와요. 그때쯤 되면 머릿속에서 수십 개의 식을 전개할 수 있어요. 문제는 2~3달 동안 같은 것만 계속 생각했기 때문에 관성에 의해서 어떤 일을 해도 생각이 멈추지 않는 재앙이 ... ...
- [재미] 앵무조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출신의 수학자 존 네이피어예요.”“어쩌다가 앵무조개에 먹혀버린 거지요?”“문제를 하나 더 내볼게요. 5×3×3×3의 답이 뭘까요?”“너무 쉽잖아요. 음…, 135이지요.”“그럼 3×3×3×3×3×3×3×3×3×3×3×3×3×3×3×3×3×3×3×3×3×3×3×3×3×5×5×5×5×5×5×5×5×5는요?”“네? 네이피어 아저씨, 너무하신 거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여러 번 이동하지 않았다면 전체 유전자의 약 4%가 수평이동을 했다는 뜻이다(실제로는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번 이동할 수도 있으니 비율은 좀 더 낮아진다). 이를 통해 미생물은 새로운 환경에서도 영양분을 얻고 번식을 잘하도록 진화한다. 김 교수는 “미생물 입장에서 유전자 수평 전달은 ... ...
이전3994004014024034044054064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