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9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토콘드리아DNA로 인류 기원 알기 어려워" 남아프리카 기원설 무너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버네사 헤이스 가반의학연구소 교수팀은 남아프리카인 198명의 혈액 시료를 이용해
세포
내 소기관으로 어머니에게서 자식에게로 독립적으로 유전되는 미토콘드리아의 DNA를 해독했다. 미토콘드리아는 같은 단일염기다형성(SNP) 변이를 공유하는지에 따라 L0~L6까지 7가지 ‘혈통’으로 나뉠 수 있다. ... ...
홍역 '면역 기억상실'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한번 걸린 질병의 병원체가 다시 체내에 들어올 경우 이 기록을 바탕으로 면역
세포
가 빠르게 움직여 병에 다시 걸리기 전에 병원체를 물리친다. 인체는 살면서 겪는 다양한 병원체에 대한 항체를 계속 확보해 나가며, 특별한 일이 없으면 한번 형성한 항체를 잃지 않는다. 백신은 이 현상을 응용해 ... ...
면역항암치료 효과 높이는 '핵산 복합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복합물질을 통해 암
세포
에 특이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T
세포
의 활성을 훈련시켜 암
세포
의 성장과 전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오브컨트롤드릴리즈’ 19일자에 발표됐다. 검은 쥐에 실험 종양 및 실제 종양 2종에 핵산 복합물질을 각각 투여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명상이 장수에도 도움이 될까
2019.10.29
활성 차이가 REST와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가정하고 알아봤다. 그 결과 장수 그룹의 뇌
세포
의 REST 수치가 단명 그룹보다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REST 단백질은 다른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 REST 수치가 높을수록 신경 활동과 시냅스 기능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이 더 많이 ... ...
세상에 없던 쥐로 질병 연구 속도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서울대 수의대 교수)과 서준영 연세대 의대 교수팀은 지방
세포
가 특정 단백질을 이용해 에너지소비를 조절하는 과정을 밝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 23일에 발표했다. 당시 연구팀은 항바이러스 및 면역 관련 단백질이 평소 만들어지는 것을 보고 이 유전자가 없는 마우스를 이용해 연구한 ... ...
"첫 현생인류는 20만년 전 남아프리카人…지구 자전축 변화 따른 기후변화로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추정되는 L0 유전형을 지닌 남아프리카인 198명으로부터 혈액 시료를 제공받아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 DNA의 해독했다. 여기에 기존에 이미 해독된 1217명의 L0미토콘드리아 DNA 해독 결과를 더해 지금까지 나온 가장 정확한 L0 인류 가계도를 그렸다. 20만~13만 년 전까지, 현생인류는 칼라하리 지역의 ... ...
머리 많이 쓰면 단명한다?
과학동아
l
2019.10.29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차단하면 신경
세포
활동이 증가해 조기에 사망하는 반면, 신경
세포
의 흥분을 억제하는 REST를 늘리자 수명이 길어졌다. 얀크너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가 고차원적인 인간의 두뇌 기능과 수명의 흥미로운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 ... ...
삼성도 반했다, 계산 속도 빠르고 소비전력 낮은 ‘다진법 반도체’
동아사이언스
l
2019.10.28
하지만 차세대 반도체에는 그 외에 다른 기발한 반도체도 많다. 최근 과학자들은 신경
세포
의 작동 방식을 흉내 낸 신경모방(뉴로모픽) 반도체와, 디지털과 전혀 다른 셈법인 3진법이나 4진법을 이용하는 다(多)진법 반도체를 연구하고 있다. 0과 1 두 가지 숫자로 정보를 처리하는 대신에 0, 1, 2의 세 ... ...
[에코리포트]아마존이 활활 타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0.26
물질을 해결 방법으로 제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하이드로젤은 식물
세포
벽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인체와 자연에 무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증발 속도도 느려 기존의 난연제보다 더 우수한 성질을 갖고 있다. 현재 연구팀은 하이드로젤을 대규모로 만드는 방법을 ... ...
뇌도 당뇨에 영향 미친다...뇌 속에서 혈당 조절
세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0.24
초파리에서 신경전달 기능을 하는 단백질인 sNPF가 발현되는 것도 파악했다. 신경
세포
가 포도당에 노출되면 SNPF가 분비되고 sNPF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생산하는 조직으로 전달되는것도 증명했다. 서 교수는 “당뇨병 원인 규명과 치료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