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95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도 당뇨에 영향 미친다...뇌 속에서 혈당 조절
세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0.24
초파리에서 신경전달 기능을 하는 단백질인 sNPF가 발현되는 것도 파악했다. 신경
세포
가 포도당에 노출되면 SNPF가 분비되고 sNPF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생산하는 조직으로 전달되는것도 증명했다. 서 교수는 “당뇨병 원인 규명과 치료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 ...
근육통, 당뇨병, 조현병까지...'파스' 한 장으로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3
표면에는 수십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두께의 각질층이 존재하는데, 마치 벽돌(죽은
세포
) 사이에 시멘트(지질)가 채워져 있는 것처럼 빈틈이 없어 외부 물질이 피부 안으로 쉽게 이동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기존에는 분자 크기가 작고, 피부 장벽의 지질을 통과할 수 있도록 기름과 섞이는 ... ...
장내미생물 '원격' 신호전달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2
파괴하는 ‘미엘로이드’ 계열 면역
세포
들을 많이 만들어내도록 촉진한다. 그 결과 혈액
세포
가 많이 형성된다. 이 교수는 “장내미생물 신호가 어떻게 장을 넘어서 전신조직 반응을 조절하는지 그 동안 지금까지 풀리지 않았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과정을 밝혔다”며 “장내미생물 신호전달 경로를 ... ...
‘크리스퍼’를 뛰어넘을 새로운 유전자 편집도구 ‘프라임’ 등장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2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연구팀이 프라임을 이용해 사람과 쥐의
세포
를 대상으로 유전자 교정 실험을 175회 진행한 결과, 이미 밝혀진 병원성 인간 유전자 변이의 약 89%를 교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리우 교수는 “과학자들은 유기체의 모든 DNA를 수정하고자 ... ...
"C형간염도 A형-B형간염처럼 국가건강검진 도입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0.21
030년까지 누적환자와 사망자수가 급증할 것으로 예측했다. 간경변증의 경우 1만 8829명, 간
세포
암종의 경우 2만 4084명까지 늘 것으로 예측됐다. 당장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도입되기는 어렵다. 인구당 C형간염 환자의 비율이 극히 낮기 때문이다. 다만 2017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2030년까지 C형간염을 ... ...
"면역항암제는 큰 성공 가능한 미래 의약...임상기술 뛰어난 한국 성장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9.10.21
. 그런데 면역항암제를 투여하면 이런 결합이 억제된다. T
세포
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암
세포
를 파괴한다(오른쪽). 과학동아(일러스트 정은우) 올해로 4회차를 맞은 이번 포럼은 ‘치료백신과 면역치료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다. 포럼의 추진위원장을 맡은 이준행 전남대 미생물학과 교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깃편모충류' 군집 형태로 배아 발달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0
메커니즘을 통해 조직을 형성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조직 굽힘이다.
세포
의 한쪽 면이 수축되며 조직 굽힘이 일어난다. 과학자들은 깃편모충류에서 일어나는 조직 굽힘 현상을 통해 동물에서 일어나는 조직 굽힘이 진화한 기원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킹 교수는 ... ...
"빨지 않는 옷 가능할까?" 노벨상 받은 연구도 이렇게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노벨상 수상자 발표 기간 중 한 장의 사진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됐다.
세포
가 저산소 환경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과정을 밝힌 피터 랫클리프 영국 프랜시스 크릭연구소 교수가 1992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논문을 보냈다 퇴짜를 맞고 받은 편지 사진이다. 편지에는 “랫클리프 ... ...
청소년 10명중 2명 '소음성난청' 이어폰 과용 심각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하지만 큰 소음으로 인해 생기는 소음성난청은 중고음역대인 약 4000Hz를 담당하는 청각
세포
가 먼저 손상되기 시작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보통 일상생활에서 대화하는 목소리의 크기는 50~60dB이다. 타자기나 재봉틀처럼 귀에 그다지 거슬리지 않는 소리는 60dB 정도된다. 학계에서는 이런 75dB ... ...
한국 연구자 발표한 '세 부모 자녀' 가이드라인 반박 연구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이후 다른 연구팀에서 추가로 진행한 관련 연구결과를 종합해 분석한 결과다. 34개의
세포
주를 분석한 결과 엄마쪽이 공여자보다 G가 많은 경우 60%의 확률로 회귀가 발생했음이 확인됐다. 반면 공여자가 G가 많은 경우는 회귀가 발생한 사례가 없었다. 강 교수는 “회귀현상이 발생하는 것에 대한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