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가씨
소녀
규수
여자
계집애
색시
낭자
d라이브러리
"
처녀
"(으)로 총 313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
처녀
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염기서열로, 사람마다 고유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수 단장 역시 “
처녀
생식이 아니라는 증거를 곧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논란3: ‘삭제’를 ‘교정’으로 착각했나? 에글리 교수 등은 ‘대립형질 결실(Allele dropout)’이 일어났을 가능성도 제시했다. 크리스퍼가 DNA를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있는 실마리는 1963년에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의 천문학자 마르텐 슈미트는
처녀
자리에 위치한 3C 273이라는 전파광원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이 방출선이 사실 적색편이에 의해 긴 파장으로 크게 치우친 수소원자의 방출선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는 이 발견을 학술지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카히날리이 바다제국 모두.”“글루글로스는?”“글루글로스의 절반은 5500만 년 전에
처녀
자리 A 은하라는 곳에서 존재했던 문명의 꿈 속에서 태어났어. 나머지 절반은 12만 년 전 안드로메다 은하라는 곳에서 존재했던 문명의 꿈 속에서 태어났고. 둘은 2000년 전에 만나 교접하고 섞여 하나가 됐지.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했을 거다. 그래도 그건 낫다. 사거리에서 벌이 든 통을 들고 빙글빙글 도는 모습을 옆집
처녀
가 봤다면, 아마 내게 마귀가 씌였다고 생각했을 거다. 송충이의 독성을 실험하기 위해 불쌍한 내 피부를 혹사시킨 정도는 이야깃거리도 안 된다.내 삶의 후반부를 고스란히 바친 곤충기 10권에 이 내용들을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아우르고 있는,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중심 지역이다. 우리은하가 속해 있는
처녀
자리 초은하단도 이곳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마침내 우리를 에워싸는 수억 광년 우주의 구조와 만났다.2주간의 우주여행을 마치고 다시 행성 지구에 돌아왔다.저 구름 너머의 하늘에 펼쳐져 있는 아름다운 우주의 ... ...
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없어요. 그것도 어린 여자. 그래서 여전히 귀신하면 까맣고 긴 머리에 흰 소복을 입은
처녀
귀신을 떠올리는 것 같아요. 1960~1970년대한국의 근대화, 지배질서에 대한 반란지금 몇 시인데 이제 와요? 나 기다리는 건 딱 질색인데. 아, 내 소개가 늦었네요. 나는 1960년에 만들어진 김기영 감독의 작품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오직 하나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이에요. 왜곡과 편견이 있을 수밖에 없죠.에는 다양한 시선이 섞여 있어요. 얼굴을 보면 정면에서 그린 것같지만, 몸을 보면 옆에서 그린 듯하죠. 도대체 어딜 보고 그렸는지 감이 안 잡히는 여인도 있어요. 하나의 시선만으로는 볼 수 없던 세상의 ... ...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강한 충격을 받아도 시공간은 거의 진동하지 않는다. 지구로부터 약 5400만 광년 떨어진
처녀
자리 은하단에서 태양질량의 1.4배인 중성자별 쌍성이 약 1km정도의 거리를 두고 회전하는, 비교적 큰 사건에서도 중력파는 매우 작다. 태양 반지름(6.9×108m) 정도의 물체를 고작 수소원자 반지름(5.3×10-13m ... ...
[과학뉴스] ‘불로영생의 약’은 젊은 피?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소설에서 늙은 마녀는 예뻐지기 위해
처녀
의 피를 먹는다. ‘엽기적인’ 이런 장면에 과학적 근거가 있는 걸까. 늙은 쥐의 피를 젊은 쥐의 피로 바꿨더니 ‘젊음’을 되찾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놀랍게도 3개 연구팀이 비슷한 시기에 각각 논문을 냈다.미국 샌프란시스코대 해부학과 사울 ... ...
황우석 대 오보카타 하루코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혼란스러워 했다. 그가 확립했다는 줄기세포는 여전히 발견된 적이 없고, 오히려
처녀
생식에 의한 우연한 결과라는 판정이 내려졌다.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황우석 박사는 여전히 논문의 과학적 검증보다 ‘잿밥’에 더 관심이 많다.그는 여전히 정치인들을 찾아다니며 언론플레이에 집중했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