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가씨
소녀
규수
여자
계집애
색시
낭자
d라이브러리
"
처녀
"(으)로 총 313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로물루스는 로마를 세운 사람이다. 전설에 따르면 전쟁의 신 마르스와 베스타 신전의
처녀
제관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 형제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테베레 강에 버려져 늑대의 젖을 먹고 자랐다. 이들은 자신들이 발견된 언덕에 새로운 나라를 세웠는데, 그중 형 로물루스가 팔라티노 언덕에 세운 ... ...
허블 3D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허블망원경은 마치 시간이 멈춘 듯 충돌과정의 한 시점을 스냅사진처럼 담아낸다.
처녀
자리은하단의 M87이라 불리는 은하의 중심에서 거대블랙홀이 뿜어내는 제트가 아득한 빛의 방출처럼 목격된다. 영화는 허블우주망원경이 담아 낸 황홀한 우주의 모습을 관객에게 선사한다. 그 화려한 영상을 ... ...
오싹오싹 짜릿짜릿 공포의 숲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무서워하지 않는다. 이유는 공동체 의식이 동양문화보다 약하기 때문. 구미호나
처녀
귀신은 대부분 누군가의 잘못으로 인해 죽음을 당해 원한이 맺혀 있다. 공동체에 누군가가 나를 원망하고 있다는 사실은 공동체 의식이 강한 동양 사람들에겐 두려움을 가져다 준다. 하지만 개개인의 삶이 더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27년 째큰 탈 없이 현장에서 뛰고 있다. 하지만 만약 그때 불이 전체로 옮겨 붙었다면
처녀
비행에서 뜨지도 못하고 폭발하는 불운의 우주왕복선으로 기억될 뻔 했다. 가장 위대한 우주망원경을 올리다1990년 4월 24일, 나는 중요한 임무를 띠고 우주항로에 올랐다. 바로 12t이 넘는 허블우주망원경을 ... ...
왼손잡이에 대한 또다른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밤길을 걷는다. 달빛이 흐붓한 메밀밭을 지나며 허 생원은 젊었을 때 봉평에서 성 서방네
처녀
와 낭만적인 하룻밤 인연을 맺은 일을 이야기하고 동이도 자신의 살아온 내력을 이야기한다. 친정이 봉평인 동이의 어머니가 남편 없이 동이를 길렀다는 이야기를 들은 허 생원은 동이가 자신의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토성은
처녀
자리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게자리는 전통별자리로 귀(鬼)자리이고,
처녀
자리는 좌집법(左執法)자리이다. 조선 세종 때에 별자리의 의미와 천체들의 점성술적 의미를 적어놓은 ‘천문류초’라는 책에서 이런 천체현상이 어떻게 해석됐는지 찾아봤다. 귀자리는 죽음과 질병을 관장하고 ... ...
우주방랑자 구상성단 무리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무리 지어 있는 모습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이 교수는 “지구에서 5400만 광년 떨어진
처녀
자리 은하단의 사이에서 구상성단들이 무리 지어 있는 모습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며 “구상성단 무리의 전체 크기가 수백만 광년 규모로 거대하다”고 밝혔다. 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갈 수 있는 거리를 ... ...
아빠 없는 쥐 더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조사한 결과 일반 쥐보다 평균 186일, 약 30% 이상을더 오래 산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처녀
생식으로 태어난 쥐는 일반 생쥐보다 몸무게가 3분의 2 수준으로 가볍고 면역력도 강해 더 튼튼했다.비밀은 ‘Rasgrf1’이라는 유전자에 있었다. Rasgrf1은 남녀 모두에게 있지만, 여성에게 서는 발현되지 않는다. ... ...
우주에도 거대한 장성(長城)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커다란 집단도 있다. 이를 ‘초은하단’이라 부른다. 우리은하를 포함한 국부은하군은
처녀
자리 은하단과 함께 ‘국부 초은하단’을 구성한다. 국부 초은하단에는 은하군이나 은하단이 1억 광년 내에 적어도 100개 이상 무리 짓고 있다.은하들은 초은하단보다 더 큰 규모에서도 아무렇게나 흩어져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못 가겠네’과거 섬지방
처녀
들이 명절 때 부르던 강강술래 매김 소리 중 한 부분이다.
처녀
가 시집이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가장 생각난다고 할 만큼 갈치 뱃살은 맛이 있다. 갈치의 참맛은 가운데 토막이라고 하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위도 큰애기 갈치 꼴랑지 못 잊어 섬을 못 떠난다’라는 말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