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라이트
불빛
광
빔
들보
레이저광선
뉴스
"
광선
"(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단일 원자 기반 양자 LED 광원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수 있다. 그래핀-hBN-그래핀 반데르발스 터널링 구조를 이용해 만든 양자 LED는 가시
광선
부터 근적외선까지 폭넓은 파장에서 빛을 방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의 소자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상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박 통합과정생은 “개발한 기술은 차세대 광전자 소자와 양자 ... ...
한파 10일까지 '절정'…16일 다시 들이닥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강풍에 복사냉각 효과까지 더해지며 강추위가 몰려온다. 복사냉각 효과란 낮 동안 태양
광선
으로 데워졌던 지표면이 밤 사이 열에너지를 적외선 형태로 공기 중 또는 대기권 밖으로 내보내 온도가 내려가는 현상을 말한다. 한파는 12일부터 차츰 누그러들지만 16일부터 다시 찾아온다. 15, 16일 ... ...
블루라이트가 눈 건강 해치는 경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발광다이오드(LED) 기반 디스플레이 기기, 실내조명에서 방출되는 빛이다. 고에너지 가시
광선
이라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제로는 제대로 막을 수 없고 눈의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해 망막까지 도달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체내에 도달한 청색광은 세포 단백질의 산화 손상을 유발해 피부와 눈 ... ...
100년 전 예측 적중…"
광선
치료 받고 글로벌 방송 시청"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시계가 '아마도 9시 30분'으로 설정한 로우의 예측은 낙관적이었다"고 덧붙였다. 사람들이
광선
치료나 마사지를 즐길 것이라는 예상도 건강을 중요시하는 현재 트렌드와 맞아 떨어진다. 로우 교수의 예측이 모두 합리적인 것은 아니다. 그는 "여성이 남성의 지능에 근접하기까지는 수 세기가 걸릴 ... ...
크리스마스도 '맹추위'…"화이트크리스마스 없을 듯"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맑아 복사냉각 효과가 더해지면서 기온이 떨어졌다. 복사냉각 효과란 낮 동안 태양
광선
으로 데워졌던 지표면이 밤 사이 열에너지를 적외선 형태로 공기 중 또는 대기권 밖으로 내보내 온도가 내려가는 현상을 말한다. 복사냉각은 구름이 지표면에서 방출된 열을 붙잡는 흐린 날일 때 효과가 ... ...
[과기원NOW] UNIST-서울대, 산학협력 강화 논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잘 풀리지 않는 코아서베이트 제형으로 체내에서 형태와 위치를 잘 유지했다. 또 가시
광선
조사 시 가교와 뼈 이식재 역할을 하는 비정질 인산칼슘이 형성돼 뼈 이식재와 접착물질 없이도 ‘뼈 재생’과 ‘접착력’을 제공했다 ... ...
뼈 재생과 접착력, 가시
광선
으로 동시에 해결하는 하이드로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최근 온라인 게재됐다. - doi.org/10.1016/j.biomaterials.2024.122948 가시
광선
으로 가교 및 광물화가 동시에 유도되는 골 재생용 주사형 접착하이드로젤 메커니즘을 나타낸 모식도. 포스텍 ... ...
지름 10m 불과한 초소형 소행성까지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별 TRAPPIST-1과 주변을 관측한 데이터에도 새로운 탐지법을 적용했다. 소행성은 가시
광선
보다 적외선 영역에서 훨씬 밝게 보이기 때문에 적외선 관측에 강한 JWST의 데이터가 소행성을 찾는 데 유리하다. 정밀 분석 결과 지름 100m 이내의 작은 소행성 138개가 새로 발견됐다. 그중에는 지름 10m 정도로 ... ...
"겨울 흰 눈에 반사된 강력한 자외선이 피부암 유발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좋다. 피부암은 초기에 발견할 경우 완치가 가능하다. 피부에 홍색 반점이 생기는
광선
각화증과 같은 암 전구증이나 얕은 기저세포암은 수술 없이 약물치료나 냉동 요법, 레이저 시술 등으로 제거할 수 있다. 조기에 증상을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크기가 6mm(밀리미터) 이상이거나 ... ...
[과기원NOW] KAIST, 한미과학기술동맹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25
원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설계된 작은 입자다. 크기와 구조, 조성을 조절해 가시
광선
에서 근적외선까지 다양한 영역의 발광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박치영 에너지공학과 교수팀이 나노 소재를 활용한 초분자 형광 나노 복합체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