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
꼬마동이
어린이
어린애
사내아이
어린아이
꼬마둥이
뉴스
"
꼬마
"(으)로 총 153건 검색되었습니다.
AI로 돌고래 위치 파악…멸종 위기 '분홍돌고래' 보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31
때는 휘파람 소리를 낸다. AI는 돌고래가 내는 초음파와 휘파람을 분석했다. 또 보토와
꼬마
돌고래가 내는 휘파람 소리를 구분해 두 종의 위치를 각각 모니터링했다. 연구팀은 AI를 기반으로한 돌고래의 위치 모니터링 결과를 지역 주민과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돌고래가 어민들의 다른 어획 ... ...
미토콘드리아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찾았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사람과 유전자가 흡사한 선충류의 하나인 예쁜
꼬마
선충과 인간 세포를 활용했다. 미토콘드리아의 TCA 회로를 구성하는 효소인 아코니타제-2를 억제하자, 개체 내 옥살아세트산 농도가 감소하면서 병원균 저항성이 강화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TCA 회로는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할 수도 있겠다.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왜 인간을 대상으로 연구하지 않고 쓸모없는 예쁜
꼬마
선충이나 생쥐만 다루는 것인가 하고 말이다. 하지만 연구자들에게는 예상할 수 있는 혹은 예상치 못한 위험성과 문제점들을 모두 고려하여 진정한 인지증강기술을 찾아내기 위한 ‘빌드업’ 시간을 ... ...
꼬마
위성 2기 '미아'인데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KAIST 연구원들이 누리호에 실려 우주로 떠난 위성들을 관제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지난달 25일 첫 실전 발사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발사 결과에 전문가들은 ‘합격점’을 줬다. 탑재된 7기의 큐브위성 중 1기의 행방이 아직 묘연하고 1기는 사출에 실패했지만 지난 2차 발사에 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소년 마약 범죄 '철퇴' 필요한 과학적 이유
2023.05.03
역할을 했기 때문에 수 억 년 동안 이어져 온 셈이다. 논문 내용을 잠깐 소개하면 예쁜
꼬마
선충은 박테리아(세균)를 먹이로 삼는데, 영양이 풍부한 종류를 선호한다. 그런데 내인성카나비노이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선호도의 편차가 심해진다는 걸 행동 실험으로 밝혔고 이 과정에서 후각(화학감각 ... ...
DNA 자가회복 돕는 약물 개발..."노화와 암 억제"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회복할 수 있었던 손상도 더 이상 복구할 수 없게 됐다. 실험에 사용된 선형동물인 예쁜
꼬마
선충(C.elegans)은 인간과 유전자가 60% 일치하면서 수명이 3~4주로 짧아 노화 연구에 흔히 사용된다. 인간의 체세포를 배양해 확인한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확인됐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 ...
"포도당 덜 섭취하면 수명 늘어"...국내 연구진,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조절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글루코스 제한 식이를 알츠하이머 치매를 일으킨 예쁜
꼬마
선충에도 적용시킨 결과 질병의 진행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했다. 권은수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세계 최초로 유전학적으로 접근해 글루코스 식이 제한과 노화의 연관성을 발견한 것”이라며 ... ...
방사선 노출된 부모 유전자, 자녀에게 전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수 있는데 이를 새로운 정자로 대체하려면 약 2개월이 걸린다"고 말했다. 암컷화된 예쁜
꼬마
선충. 파란색은 유전자, 초록색은 히스톤 단백질, 빨간색은 성염색체(X)다. Siyao Wang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생체 노화 정도 측정 새로운 RNA 지표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08
생체 나이를 알려주는 지표로 새로운 RNA 변화를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진은 예쁜
꼬마
선충을 활용해 노화 과정에서 RNA의 총체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생체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RNA가 잘려 최종 형태로 만들어질 때 오른쪽 끝부분에서 뒤쪽이 앞쪽보다 더욱 많이 쓰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천 개의 뉴런이 함께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넘어 이들간 연결성을 찾기 시작했다. 2011년에는 처음으로 302개 신경세포를 가진 예쁜
꼬마
선충의 커넥톰이 발표됐고,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2009년부터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HCP)로 인간 뉴런 간 연결성을 나타내는 지도를 만들고 있다. 사이언스 이번호에서는 뉴런 간 연결성을 확인하기 위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