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꼬마"(으)로 총 15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8년 별이 된 엔지니어와 화학자동아사이언스 l2018.12.28
- 공개하고 공유하도록 촉구한 존 설스턴 박사가 세상을 떠났다. 모델 생물인 예쁜꼬마선충의 게놈 연구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고, 나중에는 인간게놈 해독을 주도한 사람 중 한 명이 됐다. 하지만 이렇게 얻은 정보가 인류에게 유익하게 쓰이려면 지적재산권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해, ... ...
-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동아사이언스 l2018.12.02
- 예쁜꼬마선충(의 유전자 복제 과정에서 22개의 염기로 이뤄진 짧은 RNA들이 작용하면 예쁜꼬마선충의 성장이 억제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간섭이라 표현하진 않았다. 이후 많은 연구진과 제약회사들은 RNA 간섭현상을 유도하기 위해 짧은 RNA 염기가닥을 병을 발병시키는 세포의 ... ...
- 배고플 때 예민한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8.11.08
- 분비되는데 이 물질도 DAF-2의 기능을 조절한다는 점을 알아냈다. 음식을 먹지 못한 예쁜꼬마선충은 INS-18 분비가 늘어나면서 행동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진은 인슐린과 유사물질이 감각신경에서 신호 전달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결과를 활용하면 당뇨병 등 대사증후군 초기 ... ...
- 서울대팀, 파킨슨병 조절하는 유전자 작용 원리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8.09.09
- LRRK2 인산화효소 활성화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예쁜꼬마선충’이란 실험용 동물의 LRRK2를 결핍시켰다. 그 결과 알파-시뉴 클린도 줄어들어 운동능력 감소나 신경 손상, 수명 감소 둔화 등이 일어난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 교수는 “파킨슨병의 유전적 위험인자인 LRRK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2018.08.17
- 준비하고 있어요. 사실 많이 어렵고 결과가 어떨지 몰라 두렵지만, 부딪혀 보려고요!” 꼬마 새 박사에서 제비 연구자로, 다시 꾸룩새연구소 소장으로 발전하고 있는 정다미 연구원의 꿈은 무엇일까? “제비 마을을 만들고 싶어요. 논이 펼쳐져 있고 하천이 흐르는 곳에 우리나라 전통가옥을 지어 ... ...
- [여기에 과학] RNA 간섭 약물 첫 FDA 시판 허가, 그 원리는 뭘까?동아사이언스 l2018.08.17
- C. elegans)의 유전자 복제 과정에서 22개의 염기로 이뤄진 짧은 RNA들이 작용하면 예쁜꼬마선충의 성장이 억제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간섭이라 표현하진 않았고요. 단지 길이가 짧은 이른바 '마이크로 RNA'(이하 miRNA)가 생체에서 어떤 작용을 할 수 있는지 처음으로 엿본 연구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RNA간섭, 20년 만에 의약품으로 결실 맺다!2018.08.14
- unc-22유전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로, RNA이중가닥을 넣어 발현이 크게 떨어진 결과 예쁜꼬마선충이 경련을 일으킨다. - 노벨재단 제공 새로운 유전자 발현 조절 시스템 파이어와 멜로를 비롯해 연구자들은 후속 연구를 통해 이 시스템의 실체를 밝히는 데 성공했다. 즉 세포 안으로 ... ...
- [짬짜면 과학 교실]작은 생물들의 큰 세계2018.08.11
- 곰팡이, 효모 같은 ‘균류’이고, 그보다도 훨씬 작은 세균들은 더 많아요. 그럼 그 꼬마 주인공들을 알아볼까요. 얼핏 보면 식물 같아 보이고, 자주 야채와 함께 맛있는 음식으로 요리되어서 흔히들 채소의 하나로 알고 있는 ‘버섯’은 식물도 동물도 아닌 생물 중에서 가장 큰 종류예요.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완벽한 ‘안드로이드’에 대한 고민… ‘엑스마키나’동아사이언스 l2018.08.10
- 수없이 많은 영화에 등장하는 형태다. 대표적인 사례가 영화 AI. 여기 등장하는 주인공 꼬마 로봇은 완전한 안드로이드로 칭할 수 있다. 스타트렉이나 에일리언에도 이런 로봇이 조연급 역할을 하는 걸 볼 수 있다. 이런 영화들은 ‘기술이 발전하면 로봇은 점점 더 사람을 닮게 될 것’이라는 ... ...
- 내 몸 부드럽고 정교하게 제어하는 ‘식스센스’ 비밀 풀렸다동아사이언스 l2018.06.19
- 자기수용감각을 발휘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TRP-1,2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예쁜꼬마선충은 직진 운동을 하지 못한다. 자기수용감각이 무너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사진 제공 DGIST 이번 연구는 몸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는 질환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