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형
유전자형
인자형
뉴스
"
유전형
"(으)로 총 82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치용 생명硏 책임연구원 제14회 ‘여천생태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2
물 환경 분야 최고 국제학술지인 ‘워터 리서치’에 발표하며 마이크로시스티스의
유전형
변화와 미생물 구성의 상호작용 패턴을 네트워크 분석으로 정밀 추적해 세계 최초로 보고한 업적을 인정 받았다. 시상식은 12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포스코관에서 열리는 제76회 한국생명과학협회 ... ...
치명률 줄었지만 젊은층 파고들고 변이 늘었다…4차 유행 1~3차 유행과 다른 점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것이 이전 유행과 다른 점이다. 정 본부장은 “3차 유행에는 GH
유전형
의 바이러스가 주로 유행했다”며 “반면 최근에는 영국발 알파 변이와 인도발 델타 변이 등 주요 변이 바이러스의 점유율이 40% 이상 나타나고 있어 전염력이 더 높은 바이러스가 유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39.6% 변이 감염…"검출률 계속 늘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6.22
중 델타 변이가 차지하는 비율은 낮다다는 설명이다. 이 단장은 “G군을 구성하는 세부
유전형
중 주요 변이가 아닌 비율은 97.4%”라며 “아직 바이러스 특성 및 전파력 관련 특이 보고사항이 없어 추가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이 단장은 최근 변이바이러스 확산 상황에 대해 “델타형 변이가 빠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시장이 반찬인 이유
2021.04.20
밝혀졌다. 물림 신호에 민감한 MC4R
유전형
인 사람은 BMI가 낮고 물림 신호에 둔감한
유전형
인 사람은 BMI가 높았다. 지난해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AgRP처럼 MC4R뉴런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SHU9119)이 달라붙을 때 MC4R 단백질의 구조를 저온전자현미경으로 밝힌 논문이 실렸다. 그리고 지난주(4월 1 ... ...
방역당국 "국산 코로나 혈장치료제 세포실험서 영국·남아공 변이에 효능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25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국내에서 개발한 혈장치료제가 모든 코로나바이러스
유전형
에서 중화항체 생성이 발견돼 변이바이러스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사실을 세포 실험에서 확인했다”며 “다만 실제 치료 효능은 제약사의 임상시험 결과를 토대로 검토할 필요가 있고 의료 현장에서는 ... ...
허가 받자마자 숙제 생긴 국산 항체치료제… 영국 변이엔 '효과' 남아공에 '무력'
동아사이언스
l
2021.02.14
국립보건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렉키로나주가 국내에서 확인된 변이 바이러스 6개
유전형
에 대해 중화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달 5일 렉키로나주를 3상 임상시험 결과 제출을 조건으로 허가 결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는 영국과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 ...
셀트리온 "남아공 변이 치료제 개발중…6개월 내 임상완료 목표"
연합뉴스
l
2021.02.12
앞서 질병청에서는 지난해 렉키로나가 국내에서 확인된 변이 바이러스 6개
유전형
(S·L·V·G·GH·GR) 전체에 대해 중화능력이 있다고 확인한 바 있다. 이번 시험 결과 렉키로나는 영국 변이 바이러스에서 중화능력을 보였으나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에서는 중화능력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바이러스 변이체 위협적인가?
2021.01.12
집합적으로 O형으로 분류한다. L은 우한에서 처음 등장한 원형이고, S, V는 약간 변이된
유전형
으로서 중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현재는 G형이 전 세계적인 우세종으로 자리 잡았다(그림 2). G형에서 하나의 특정 돌연변이인 D614G가 가장 일반적인 변이체가 되었다(Korber et al., 202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와 장내 미생물
2021.01.12
비대칭성은 사회심리학과 유전학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가 아닐까. 인간의
유전형
과 미생물총에 따라 같은 음식을 먹어도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서구인들처럼 아밀라아제(AMY1) 유전자의 복제수가 적은 경우 탄수화물을 섭취했을 때 녹말(simple starch)이 채 소화가 안돼 ... ...
3만4000년 전 동아시아인은 코스모폴리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약 3만4000년 전에 살았으며 오늘날 유라시아인 사이에서 널리 발견되는 미토콘드리아
유전형
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됐다. 살킷(흰 마름모)과 티앤유안(빨간 마름모)인의 게놈을 다른 고인류(마름모) 및 현대인(원) 게놈과 비교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