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형"(으)로 총 8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석 제각각' DTC 유전자검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필요"연합뉴스 l2019.12.30
- 점 등 유전자 검사의 한계가 그대로 노출됐다"며 "국가와 산업계가 함께 우리 국민의 유전형에 따른 웰니스 등 형질을 추적 조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황태순 유전체기업협의회 회장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연구개발을 병행하며 검사결과를 해석하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짜게 먹으면 치매 걸릴 위험성 높다2019.11.12
- 발병에 APOE 단백질의 질이 더 영향을 미칠까 양이 더 영향을 미칠까. 아래 그래프는 유전형에 따른 알츠하이머병 발생 시기 추이를 보여주는데, 질이 양보다 훨씬 더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부모 양쪽에서 ε3 유형을 받으면(ε3/ε3) GG, GT, TT에 관계없이 부모 양쪽에서 ε4 유형을 받은 경우(ε4/ε4)는 ... ...
- "미토콘드리아DNA로 인류 기원 알기 어려워" 남아프리카 기원설 무너지나동아사이언스 l2019.11.01
- 되지만, 모계 혈통은 '타임캡슐'과 같이 추적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L0의 다양한 세부 유전형 인구집단의 이주를 보여주는 지도다. 초록색과 파란색으로 묘사된 북동쪽 인구 확산이 13만 년 전, 보라색 인구 확산이 11만 년 전 이후 일어난 두 번의 주요 확산 현상이다. 주황색 지점이 최초의 ... ...
- "첫 현생인류는 20만년 전 남아프리카人…지구 자전축 변화 따른 기후변화로 확산"동아사이언스 l2019.10.29
- 있고, L0a 인류는 이후 아프리카를 벗어나 지구 전역으로 확산했다. L0의 다양한 세부 유전형 인구집단의 이주를 보여주는 지도다. 초록색과 파란색으로 묘사된 북동쪽 인구 확산이 13만 년 전, 보라색 인구 확산이 11만 년 전 이후 일어난 두 번의 주요 확산 현상이다. 주황색 지점이 최초의 ... ...
- [인류와 질병] 비만의 진화2019.10.19
-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너무 연비가 좋은 몸을 가지고 태어났다. 그러나 절약 유전형 가설은 중대한 문제가 있다. 왜 어떤 사람은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느냐는 것이다. 얄밉게도 말이다. 데이비드 바커가 주장한 절약 표현형 가설은 이와 조금 다르다. 유년기 혹은 재태 중의 다양한 ... ...
- [인류와 질병] 치매의 수수께끼2019.10.06
- 이상 가지고 있다. 반대로 E2 변이형을 가진 사람은 알츠하이머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 유전형에 따라서 표현형이 바뀌는 것은 있을 법한 일이다. 하지만 E4 변이형을 가진 사람이 심각한 알츠하이머병에 잘 걸린다면 유전자 풀에서 점점 사라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코카서스인의 경우 그 빈도는 ... ...
- [인류와 질병] 크레이지 캣 레이디2019.09.28
- Rh 양성 혈액형을 가진 사람 중 일부는 Rh +/- 대립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전형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운동 반응 속도를 비교했는데, 대상자는 톡소포자충증 감염자였다. 톡소포자충에 감염되면 운동 반응 속도가 느려진다. 그런데 이형접합체를 이루는 사람은 이러한 운동 ... ...
- 예상 못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원인은 바이러스의 생존력과 감염력동아사이언스 l2019.09.25
- 껍질을 만드는 표면 단백질 중 하나인 p72는 종류가 다양해 ASF 바이러스를 총 22개의 유전형으로 분류하게 한다. 이런 다양성은 방역 당국이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사백신과 치료제 등으로 차단 전략을 구사하는 데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뿐만 아니라 면역세포에 감염되는 바이러스로서 항체 ...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2019.09.21
- 혈액형은 Rh 양성이다. 그런데 이들은 Rh-/- 유전형을 가지고 있는 Rh 음성 혈액 혹은 Rh+/+ 유전형을 가진 Rh 양성 혈액을 가진 사람에 비해서 톡소포자충 감염이 되어도 증상이 별로 두드러지지 않는다(정확히 말하면 반응 속도 저하가 적다)는 것이다. 톡소포자충은 유럽인에게 흔한 기생충이다. ... ...
- [Q&A]문답풀이로 살펴본 아프리카돼지열병동아사이언스 l2019.09.18
- (나노미터·10억분의 1m) 정도의 DNA 바이러스이다.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총 23개의 유전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만큼 바이러스가 만들 수 있는 단백질의 종류도 많아진다. 단백질 종류가 많을수록 변이가 많이 일어나 백신 개발에 어려움을 준다는게 과학자들의 설명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