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형"(으)로 총 8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2017.01.02
- canalization)’라는 개념에 주목했다. 와딩턴은 개체발생이 강력한 과정이기 때문에 사소한 유전형의 변이는 묻혀 형태로 드러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이런 현상을 물이 수로로 흘러들어 한 줄기로 흐르는 것에 빗대어 ‘수로화’라고 명명했다. 와딩턴은 11년이 지난 1953년 역시 ‘네이처’에 ...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2016.09.07
- 해서 다 이처럼 무시무시한 건 아니다. 균주에 따라 콜레라독소 유전자가 없거나 있어도 유전형에 따라 병원성에 차이가 있다. 이번에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콜레라의 경우도 네 번째는 유전자지문 분석결과 콜레라독소 유전자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이번처럼 콜레라독소가 없더라도 다른 ... ...
- 국내 두 번째 콜레라 환자 발생…보건당국 콜레라 대책반 편성포커스뉴스 l2016.08.25
- 있고, 생물형은 ‘El Tor’형으로 확인됐다. 또한, 8월22일 보고된 첫 사례와 동일한 유전형인지 확인하기 위해 유전자지문분석(PFGE)을 진행하고 있다. 접촉자 조사에서 동일 삼치를 공동 섭취한 11명은 8월24일 콜레라균 검사를 시행했으며 현재까지 설사 증상을 나타나지 않았다. 질본 관계자는 “추가 ...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2016.07.04
- :1로 나온다. 이 표현형의 비율은 순종 둥근콩 : 잡종 둥근 콩 : 순종 주름진 콩=1:2:1이라는 유전형 비율에서 나온다. 멘델의 논문을 보면 2세대 둥근 콩이 5474개, 주름진 콩이 1850개로 2.96:1로 너무 정확하다. 그런데 여러 통계기법을 써 분석하면 이런 결과가 나올 확률이 매우 낮다는 것이다. 멘델은 ... ...
- 육질 좋은 ‘GM 한우’ 식탁에 오를 수 있을까2015.12.02
- 슈퍼 미꾸라지 연구에 참여했던 남윤권 부경대 해양바이오신소재학과 교수도 “유전형-표현형-형질을 함께 평가할 수 있는 첨단 분석 기법 확보와 함께 관련 평가 기준과 법적, 제도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알츠하이머병도 전염 될까?2015.09.21
- 높다며 그 근거를 제시했다. 먼저 사망한 여덟 명 모두 알츠하이머병이 일찍 발병하는 유전형이 아니었다. 또 호르몬 투여가 아닌 다른 원인으로 프리온 질환에 걸려 사망한 비슷한 나잇대 또는 심지어 10년 더 나이든 환자 116명의 뇌조직을 조사한 결과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이 없었거나 있어도 ... ...
- 바다에서 건져 올린 플랑크톤 왕국2015.05.25
- 정보를 분석해 플랑크톤의 유전적인 다양성을 밝혀냈으며, 플랑크톤이 15만 가지 이상의 유전형을 갖고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또 이들 연구 결과를 이용해 플랑크톤들이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으며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지도 분석했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돌이다. 그냥 ... ...
- 글루텐을 위한 변명2014.07.07
-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다. 즉 주식으로 먹는 문화권에서는 이미 자연선택으로 불내증인 유전형은 솎아졌다는 말이다. 이 논리를 적용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에서 글루텐 민감성이 10%라면 이해가 가지만, 예전부터 밀 문화권이었던 곳에서도 마찬가지로 10%라는 건 이상하지 않은가. ●글루텐 프리의 ... ...
- 3D 얼굴 모델링, 그래핀 분리막 "기초 연구가 돈 되네"과학동아 l2014.05.28
- 기법으로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글로벌 제약사의 진단제보다 더 많은 종류의 유전형을 검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 경쟁력이 높다. 이 제품은 출시 첫해인 지난해 2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향후 5, 6년은 전년 대비 2, 3배가량 폭발적으로 매출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 ...
- 간암 유발하는 ‘C형 간염’ 치료법 나올까동아사이언스 l2013.06.26
-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크고 약물 과다투여에 따른 부작용도 생긴다. 또 C형 간염의 유전형(遺傳型)에 따라 치료효과도 서로 다르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은 효과적인 C형 간염 치료법 개발를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울산대학교 주철현 미생물학과 교수팀은 인터페론의 분비 기전에 관한 ... ...
이전45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