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스페셜
"
생물학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잊어버렸다.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구조
생물학
으로 분야를 바꾼 영국 MRC분자
생물학
연구소의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은 2000년 리보솜 작은 단위체의 구조를 규명하며 동시에 항생제 6가지가 결합한 구조도 밝혔다. 이런 업적이 인정돼 후발주자임에도 여러 리보솜 연구자들 가운데 20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다만 원서가 나온 지 얼마 안 돼 아직 한글판은 없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진화
생물학
자 노아 휘트먼 교수가 쓴 ‘가장 감미로운 독’. 식물의 독성물질이 인간의 삶에 미친 영향을 많은 사례를 들어가며 재미있게 설명했다. 교보문고 제공 ● 화학전에 끼어든 인류 ‘Most delicious poison(가장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의 과학인물(?)'에 선정된 챗GPT
동아사이언스
l
2023.12.23
피부세포 이용해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제작한 다음 유전자 조작을 통해 난자를 만들어
생물학
적으로 두 마리의 아빠 쥐 사이에서 새끼를 얻는 데 성공했다. 일리야 수츠케버 미국 오픈AI 수석 연구원도 선정됐다. 수츠케버 연구원은 챗GPT와 이를 뒷받침하는 대규모 언어모델(LLM) 개발에 핵심적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은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가 자신의 존재를 보장하기 위해 다른 유기체를 죽이는
생물학
적 관계”를 항생(antibiosis)라 정의했다. 또 1897년에 뒤센느(Ernest Duchesne)는 Penicillium glaucum이 대장균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는 등 곰팡이가 세균의 성장을 막을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과학근본개념초월센터)의 부소장인 새라 워커가 공동 교신저자다. 논문은 물리학과
생물학
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조립(assembly, 줄여서 A)’이라는 새로운 물리 개념을 제안하고 있다. 조립은 주어진 대상들의 무리, 앙상블(ensemble)이 생겨나는데 요구되는 인과성의 정도를 나타낸다. 대상의 선택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인정해주는 식이다. 물론 이 사람 세포의 성염색체는 여전히 ‘XX’이지만 말이다. 세포
생물학
에 충실한 필자는 소위 정치적 올바름의 하나인 이런 경향이 거슬렸다. 그런데 최근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린 한 기고문을 읽으며 ‘과학적 올바름’이라고 믿고 있는 것의 토대가 생각보다 견고하지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생존에 유리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선택적 포획 기능은 동물과 유사한 분자세포
생물학
적 기전이 식물에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식물의 각 부위에는 물리적 변화를 이온 흐름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기계적감응이온채널(mechanosensitve ion channel)이 존재하여 물리적 자극에 의해 수용체전위(receptor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특정 파장의 뇌활성을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면 이와 관련된 신경
생물학
적 메커니즘도 깊게 이해할 필요도 있다. HD-tACS와 같은 비침습적 자극에 의한 노인의 기억 향상이 계속 재현되는 것으로 확인된다면, 한국과 같은 가파른 고령화에 접어든 사회에서 노화성 인지기능 감퇴로 고통받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갈수록 더워지는 지구, 인간의 한계는
동아사이언스
l
2023.10.01
거의 이뤄지지 않는 실정이라고 왓맨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임산부가 열 스트레스에
생물학
적으로 어떻게 반응하는지, 임신 주수에 따라 태아 건강의 위험성이 어떻게 달라지며 어느 정도의 열 노출이 한계점인지 모두 불확실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다만 지난 8월 호주 시드니대의 '열과 건강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공지능이 과학을 업그레이드하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9.30
AI가 과학 기업들의 연구 재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본다.
생물학
, 물리학, 수학, 사회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AI가 기업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 연구 속도를 빠르게 높이고 새로운 과학적 탐구 방향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왜 학계가 AI에 흥분하는지, 거짓 정보 등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