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스페셜
"
생물학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연구자가 밝힌 진화
생물학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3.19
사이언스 표지 논문으로 기초과학 연구가 선정된 것은 이례적이다. 강 교수는 “진화
생물학
에서 해결되지 않았던 부분을 풀었다는 점과 사람들의 관심이 쏠릴 수 있는 연구란 점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암세포 특이적 약물 전달을 위한 단백질 조립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중개연구는 우주 환경이 인체 생리와 인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주제로
생물학
·의학적 과정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우주에서 발생하는 실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대응 전략까지 개발하는 사업이다 ... ...
[오늘과학] "챗GPT, 질문자 지식에 따라 다른 답변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7
던져도 질문자의 ‘입맛에 맞는’ 왜곡된 답변까지 내놓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솔크
생물학
연구소는 질문자가 질문이 전제하는 사실에 따라 챗GPT의 답변 양상이 달라지는 사실을 확인한 테렌스 세즈노스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교수의 연구를 6일(현지시간) 소개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RNA 합성에서 합성 종결 인자 '멈춤의 역할'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RNA 합성 종결 인자의 동역학적 특성을 발견하고 이 특성이 유전자 발현 조절에 미치는
생물학
적 기능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DNA에서 RNA를 생성하는 과정을 마무리 짓는 전사종결인자인 단백질 로(Rho)는 중합효소가 오래 멈출수록 종결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기존에는 단백질 ... ...
[오늘과학] 생쥐는 성욕과 식욕 중 어떤 욕구 앞설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짝짓기 파트너는 항상 주변에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생물학
적 이치에 맞는 선택”이라며 “짝짓기를 하려면 배고픔은 무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런 행동의 이유를 밝히기 위해 생쥐의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식욕 억제 호르몬인 ‘렙틴’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형질전환, 클로닝 기술을 그 이전보다 효율을 크게 증가시켜 줌으로써 분자의학과 분자
생물학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작은 착상이 세상을 바꾼 것이다. ※ 참고문헌 1. McKie SJ, Neuman KC, Maxwell A (April 2021). DNA topoisomerases: Advances in understanding of cellular roles and multi-protein complexes via structure-function analysis. ... ...
[커버링클라이밋나우] 빌 게이츠는 왜 '소 트림' 줄이는 연구에 투자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개발 중이다. 최근 반년만 살펴보더라도 지난해 11월 이승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
생물학
연구소장 연구팀은 메탄을 고부가가치 바이오화학 소재로 바꿔주는 유용 미생물을 개량하는 기술을, 지난해 10월에는 이상엽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메탄을 에너지자원으로 전환할 수 있는 촉매제를 ... ...
[일상속 뇌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
2023.01.27
doi.org/10.1038/nature03260). 이는 젊은 개체의 혈액 내 무엇인가가 노화의 역전을 이룰 수 있는
생물학
적 정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노화의 피’는 정 반대로 젊음을 역전시키는 무엇인가를 담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 않을까. 나이든 동물의 피를 어린 동물에게 수혈하면 오히려 ... ...
[과기원은 지금] 대한면역학회장에 전창덕 G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대한면역학회는 1974년 창립한 국내 면역학 분야 최대 학회다. 전 회장은 경북대학교에서
생물학
석사, 면역학 박사를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하버드 의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무한한 잠재력 지닌 세포공학
동아사이언스
l
2022.11.27
공학은 무한한 잠재력을 가졌다”며 “인간 발달이나 조직 재생, 질병 치료 등 복잡한
생물학
적 시스템이 제어되는 방법에 대한 근본적 이해를 향상시킨다”고 밝혔다.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