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밝혔다.그렇다면 이렇게 키운 명태를 언제쯤 맛볼 수 있을까. 이제 막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한 수준이기 때문에 당장 식탁에 오르기는 힘들다. 변 박사는 “어업인들에게 수정란을 분양하고 기술 지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면 육상 수조식 ...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교수팀은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눈이 먼 생쥐의 시력을 기초적인 수준까지 회복시키는 데 성공했다.일본 오카야마대 연구팀은 아우어렙(OUReP)이라는 새로운 방식의 인공망막을 개발 중이다. 얇은 폴리에틸렌 필름 위에 특수한 색소를 입혀 망막 바로 아래층에 끼워 넣기만 하면 된다. 이 색소는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그래서도 안 된다. 그러나 공학, 특히 로봇공학은 특성상 상용화와 분리해 생각할 수 없는데도, 그간 이와 관련된 논의가 적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앞으로 이 같은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돼 더 많은 기술이 세상으로 나오길 기대해본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유명 건축가 ‘ 지파나 툭탁’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가위로 자르려 하고 있었다. ‘지파나 툭탁’은 반가운 미소를 띠며 썰렁홈즈를 맞이하는데….“때 맞춰 잘 들어왔어용, 썰렁홈즈. 제가 지금 막 창문 디자인을 완성하려 하고 있었거든용. 썰렁홈즈, 제가 디자인한 창문 모양이 뭔지 금방 알겠죵?”썰렁홈즈, 낡은 사무실로 돌아오다?!“사실 전 ... ...
- 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거의 2년 가까이 뱃속에 새끼를 품고 있는 거예요. 또 한 번에 새끼 한 마리씩만 낳는데다, 새끼를 낳고 다시 새끼를 가질 때까지 무려 4~5년이 걸려요. 그래서 다른 동물에 비해 번식률이 높지 않답니다.빙하기가 끝날 무렵 털매머드는 수가 많이 줄어든 상태였어요. 이 경우에는 낮은 번식률이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들은 100개가 넘는 꼭짓점을 이용해 사각형과 오각형이 없는 평면그래프를 만들었는데, 이 그래프 를 3색으로 칠할 수가 없었던 겁니다. 이 결과는 5쪽짜리 논문으로 쓰여 학술지 ‘조합론 시리즈B’ 2017년 1월호에 실렸습니다.이제 중요한 미해결 문제가 하나 남아 있습니다. 과연 사각형, 오각형,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공주는 ‘내가 잠에서 깨어났다’는 정보를 활용해 동전이 앞면이 나왔을 확률을 구했는데, 과연 ‘내가 잠에서 깨어났다’는 정보를 어떻게 알았을까? 아래 두 주장과 독자의 의견을 읽고 결국 공주의 답이 무엇이어야 할지 생각해 보자!antoniozo님일요일에 던진 동전이 앞면이 나왔을 확률은 ... ...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떠난 여행은 값진 경험이었다. 앞으로도 미시세계에 푹 빠져있을 것 같다. 그런데 도대체 우리는 어떻게 작아졌던 거지? 알고 보니 누군가가 우리가 미시세계에 관심을 갖고 미시세계를 더 자세히 밝히라는 특명을 준 것이 아니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에게 묻는 작은 세상의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2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숨은 인물을 찾았다는 공통점이.우 : ‘히든 피겨스(숨겨진 인재)’니까. 근대를 만드는 데 공을 세운 여성들을 부각하고자.최 : 오래 잊혀졌던 연구자의 생애를 후학의 증언을 토대로 담담히 그려보고자.편 : 누구네 팀원인지 훌륭.우, 최 : (좀 스스로 숨을 줄도 알았으면. ... ...
- [과학뉴스] 프리온, 효모에게는 ‘이로운 물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리포트’ 1월 20일자에 발표했다.연구에서 핵심이 된 ‘Lsb2’는 세포골격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여타 단백질처럼 오래 유지되지 않을 뿐더러 열에 약하다. 하지만 Lsb2가 열에 강한 프리온을 만나면 준안정 상태의 단백질로 변하게 돼, 고온에서 잘 버틸 수 있으며 다시 정상 ... ...
이전3963973983994004014024034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