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747건 검색되었습니다.
샴푸 방법만 바꿔도 모발이 건강해진다!
2016.06.30
염증이 없으면 일반 샴푸를 사용해도 되지만 염증이 있다면 △항균 △항진균 △소염
작용
이 있는 두피전용샴푸를 사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뜨거운 바람으로 건조하지 마세요. 샴푸 후에 머리를 제대로 말리지 않으면 모발은 물론 두피 건강에 좋지 않으며, 모발이 푸석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 ...
열적 평형 깨진 보손 입자 포착 성공
2016.06.26
‘닫혀 있는 다체 양자 시스템은 보통 그 시스템 자체에 있는 입자들끼리의 역학적 상호
작용
으로 열적 평형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평형 상태가 깨진 채로 불균일하게 편재돼 있는 다체 양자 시스템이 발견되면서 기존의 가설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연구진은 레이저광을 활용해 ... ...
아빠의 미토콘드리아는 왜 자식에게 전달될 수 없나
2016.06.26
파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가 파괴 과정에는 CPS-6이라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이
작용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예쁜꼬마선충(C.Elegans)의 정자에서 CPS-6 단백질을 제거한 뒤 수정시키자, 부계 유전자가 수정 후 발달 과정에서도 남아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부계 미토콘드리아를 갖고 있는 ... ...
반데르발스 힘, 원자 단위에서 최초 측정
과학동아
l
2016.06.23
경우 이론값보다 최대 두 배에 가까운 수치가 나왔다. 연구팀은 “(다른 원자와 잘 상호
작용
하지 않는) 비활성기체지만 원자들 사이에 전하가 이동해서 약한 공유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며 “그 효과로 반데르발스힘이 이론값보다 더 큰 것처럼 나타난 것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 ...
바닷물에서 리튬 금속 이온만 쏙 빼내
2016.06.20
일어나 시료에 변화가 일어날 수밖에 없어서 이온을 정밀하게 포집하는 데 한계로
작용
했다. 연구진은 나노유체역학장치를 이용해 액체에 강한 전기장을 국부적으로 발생시키는 방식을 택했다. 그 결과 수화된 이온에서 물분자가 벗겨지면서 이온 이동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암흑물질 탐색 중심에 있는 韓과 경쟁 대신 협력하겠다”
2016.06.20
탐색에서 세계 물리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
작용
연구단(CAPP)이 사상 최대 규모의 초고성능 액시온 검출 실험을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CAPP의 실험 장치는 이전부터 액시온 검출 실험을 해온 미국 워싱턴대 ‘액시온 암흑물질 실험(ADMX)’보다 액시온 ... ...
DNA만 알고 RNA는 모른다면, 아니 아니 아니되오~
2016.06.19
기술 등이 개발된 덕분에 서로 다른 종류의 단백질이 5‘UTR과 각각 어떻게 다르게 상호
작용
해 mRNA 번역을 활성화시키는지 알 수 있게 됐다”며 “이는 암, 신경 질환, 지적 장애 등을 극복할 수 있는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증폭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사릴 ... ...
정민근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사표 제출
2016.06.19
것은 국책기관 수장으로서 무책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편으로는 외압이
작용
한 것 아니냐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특히 연구재단의 경우 2대 이사장부터 현 이사장까지 모두 임기를 채우지 않고 물러나 이런 논란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2대 이사장인 오세정 현 국민의당 의원은 2011년 ... ...
세포가 스스로 ‘청소’하게 만드는 메커니즘 첫 규명
2016.06.16
신호를 발견해 이
작용
의 작동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자가포식
작용
은 세포 속에 필요없는 물질을 분해해 필요한 물질로 합성하기 때문에 세포의 생존과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자가포식 단백질이 어떻게 기능하는 지에 대한 연구가 있었을 뿐 유전자 차원의 ... ...
차세대 반도체 소재 ‘흑린(검은색 인)’이 뜬다
2016.06.14
있음을 밝혀냈다. 배 연구원은 “열전 반도체 소자로 흑린을 쓰려면 흑린과 기판의 상호
작용
을 정확히 이해해야 하는 만큼, 기판의 불순물을 조절하거나 절연체를 활용해 흑린 반도체의 열전현상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인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기술 분야 학술지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