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571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 분석] 슈퍼 엘니뇨로 인한 대가뭄, 4대강으로 막기엔 역부족
2015.10.15
관련 정책에 자방자치단체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 것도 한계점으로
작용
한다. 안 소장은 “환경 사업은 획일적으로 진행하면서 발생한 문제는 스스로 해결하라는 방침은 모순적”이라며 “지자체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하려면 지역별로 무엇에 취약하고 어떤 인프라가 ... ...
2050년 한국인도 ‘기후 난민’ 되나
2015.10.14
범죄 등 여러 가지 사회 문제가 야기됐다.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이 정치적 불안 요소로
작용
한 것이다. 시거 교수는 “시리아에서 기후변화는 내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가뭄의 원인은 기후를 교란시킨 인간의 행태”라고 지적했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시리아 ... ...
독일에서 남북 대학원생 함께 교육받는다
2015.10.14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교육 프로그램은 남북 과학기술 협력에 새로운 전기로
작용
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0년 남북 교류가 활발할 때 소프트웨어 중심의 협력이 추진됐지만 이후 남북관계가 악화되며 모든 교류가 끊어졌다. 지난해 7월 출범한 대통령직속 통일준비위원회에도 과학기술은 ... ...
대마초의 과학
2015.10.12
일 것이다. 즉 특정 뉴런에 국한돼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 신경계 전반에 걸쳐
작용
한다는 말이다. 지금까지 확인된 내인성카나비노이드 관련 물질은 150가지가 넘는다. 85세임에도 여전히 연구에 열심인 라파엘 머슐럼 교수는 내인성카나비노이드 시스템이 기억과 정서반응, 학습 등 광범위한 ... ...
1.6% 차이가 인간-침팬지 운명 갈랐다
2015.10.11
진화 과정에 그치지 않고 진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문명이 주변 생태계와 계속 상호
작용
하면서 다른 생물 종을 어떻게 멸절시키고 번식시켰는지 면밀하게 소개한다. 이 책은 인류 문명의 생성과 발전과 소멸, 더불어 인간 사회의 미래를 조망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종합적인 인류 보고서라는 ... ...
남극에는 U자형 계곡이 많을까, 적을까
2015.10.11
측정했다. 연구팀이 빙하의 침식속도와 미끄러져 내려오는 속도를 조사한 결과 침식
작용
은 빙하에 속도에 달린 것으로 밝혀졌다. 빨리 내려오는 빙하가 천천히 내려오는 빙하보다 주위를 더욱 잘 깎아낸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남극의 지형을 설명하는 데도 잘 들어맞는다고 ... ...
“한때 연구보조원” 터키 의사의 인생역전기
2015.10.08
오류가 30개 정도 생기는 셈이다. 이런 변이는 상황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작용
하며 ‘진화’를 일으키게 된다. 미스매치 복구에서 흥미로운 부분은 이중나선 가운데 어느 가닥이 오류인지를 어떻게 구분해서 고치는가 하는 문제다. 예를 들어 DNA복제 과정에서 새로운 가닥이 만들어질 때 ... ...
중성미자 때문에 지구가 멸망?
동아사이언스
l
2015.10.07
별명도 붙었지요. ‘전자’ ‘뮤온’ ‘타우’라는 3종류의 중성미자가 서로 상호
작용
을 한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과연 질량이 있는지 미스테리였습니다. 이번 노벨상의 업적은 중성미자가 질량이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니 만큼, 과거에 비해 진보한 것으로 봐야합니다. 중성미자를 ... ...
日, 또 노벨상
동아일보
l
2015.10.07
중성미자는 우주를 가득 채우고 있지만 눈에는 보이지 않으며 다른 입자와 거의 상호
작용
을 하지 않아 투명한 유리창을 지나듯 통과해 버려 ‘유령 입자’로도 불린다. 이 때문에 중성미자의 존재와 질량을 확인하는 일 자체가 물리학자들에게는 오랜 도전 과제였다. 노벨상위원회는 “3종류의 ... ...
[2015 노벨 물리학상, 왜 그들이 받았나] 중성미자에도 질량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6
사건입니다. 과학자들은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와 이들 사이의 상호
작용
을 밝힌 현대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Standard Model)을 증명하기 위해 끊임없이 실험해 왔습니다. 하지만 표준모형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중성미자가 질량을 갖고 있지 않아야만 했습니다. 결국 두 과학자의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