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결과는 아직 분석 중이에요.낮에 활동하는 팀과 밤에 활동하는 팀으로 나뉘는
데
, 저는 밤에 활동하는 팀이었어요. 저녁 10시쯤부터 하루 일과가 시작되죠. 보통 3시간에 한 번씩 해저지각이 시추공에서 채취되어 올라와요. 이 샘플을 분석한 뒤, 다른 과학자들과 토론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게 주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대표 핵심종이랍니다. 수달을 지키는 것이 곧 생태계를 지키는 일인 거예요.그런
데
현재 우리나라에 사는 수달은 자동차에 치이거나 그물에 걸려 죽는 경우가 많아요. 천적이 없는 수달에게 ‘사람’이라는 강력한 천적이 등장한 셈이지요. 그 결과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 현재는 멸종위기종으로 ... ...
[수학뉴스] 시에르핀스키 문제 이제 다섯 걸음 남았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프라임그리드 소속 페테르 서볼치가 가장 작은 시에르핀스키 수의 후보를 5개로 줄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프라임그리드는 어마어마하게 큰 소수를 컴퓨터로 찾는 단체로, 회원들은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해 함께 거대한 계산 문제를 해결합니다. 현재 114개국에서 7500여 명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JAXA)는 실제로 1.8㎾의 전력을 송전선 없이 55m 떨어진 수신기에 보내는
데
성공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part 2. 전선 없는 세상Part 3. 여전히 수학자가 ... ...
[소프트웨어] 올바른 인터넷 문화 세운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있는 게 프로젝트 수업의 장점”이라며, “학생들은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한
데
발표를 통해 이런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말했다.프로젝트마다 한 조의 인원이 다른 것도 이유가 있었다. 요즘 같이 협동이 중요한 시대에 혼자서 문제를 해결할 때와 둘 또는 넷이 해결할 때의 장·단점을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맞춤법이 많이 틀렸군.”“맞아. 그것도 이상해. 엄마는 맞춤법을 절대 안 틀렸는
데
….”그때 하림의 머릿속에 뭔가 떠올랐다. 하림은 마고를 보며 외쳤다.“그래! 편지에 무슨 메시지가 숨어 있는 거야 ... ...
[과학뉴스]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외계 행성의 대기 변화를 연구하면 지구형 행성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천문학’ 창간호에 발표됐다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김리더는 “NMT는 사용 단어가 10만 개 이상이 되면 품질이 급격히 떨어진다”며 “학습
데
이터의 단어 벡터가 10만 개 이상이 되면 그 중 사용 빈도수가 낮은 단어들은 따로 분류해 모두 동일한 벡터 값을 가지게 한다”고 말했다. 평소에 쓰지 않는 학술용어가 소리 나는 대로 번역되거나, 번역되지 ... ...
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설명하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있다(2007년에 처음 나왔다). f(R) 모형처럼 함수의 모양을 조절해 우주상수를 흉내 내는
데
, 안정된 계라는 게 확인됐고 태양계 검증도 거뜬히 통과했다. 인과율에 위배되지 않고 새로운 에너지의 도입 없이 가속팽창도 잘 예측한다. 단 하나, 중력이 관측 결과보다 강해지는 문제가 있다. 필자가 이를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우주라는 결론이 나온다는 문제가 있다(우리 우주는 편평하다).초끈 이론의 입자 가운
데
에서 인플라톤 입자를 찾으려는 시도도 있다(스트링 가스 모형). 그러나 아직까지 편평도 문제조차 해결하지 못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순환우주 모형은 빅뱅과 빅 크런치(대수축)를 반복하는 우주다. 빅뱅 ... ...
이전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