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코드마스터] 컴퓨터가 내 몸 속 비밀을 쏙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생물학자들은 더 많은 유전자 정보를 얻으려고 연구해요. 이렇게 얻은 ‘유전체 빅
데
이터’는 관련 학자들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도록 정리돼 온라인 상에서 관리되고 있답니다 ... ...
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생김새 등 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변화가 신종을 만들어냈다는 사실을 알았어. 난 환경이 특이하거나 다른 사람이 가기 힘든 곳부터 가 보기로 했어. 이제 본격적으로 신종 탐험에 나서 볼까?밀림에서 새 포유동물을 찾을 수 있다?열대우림은 신종을 포함한 신비한 동물이 가장 잘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분(粉)’은 ‘쌀 미(米)’와 ‘나눌 분(分)’이 합쳐진 글자랍니다. 쌀을 잘게 빻는다는
데
서 가루의 뜻을 나타내죠. 처음에는 쌀가루만을 뜻하다가 이후엔 쌀 외에도 가루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바뀌었답니다. ‘화장을 하다’라는 뜻의 ‘분칠하다’에도 이 한자가 쓰여요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일반적인 신체 특징에 따라 걸음걸이가 달라진다는 사실이 밝혀진다면 범인을 찾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 될 것이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Part 4. ... ...
[과학뉴스] 독개구리 뱃속은 개미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독개구리 뱃속은 개미 연구소?!흔히 토사물은 더럽다고 생각해요. 그런
데
개미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겐 개구리가 토해낸 토사물이 유용한 연구자료가 될 수 ... 않고 토사물로 분석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하다”며 “앞으로 희귀종 개미를 연구하는
데
많이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멀리서도, 홍채의 일부만으로도 모양을 읽을 수 있도록 센서의 성능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Part ...
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답니다. 사람들 많은
데
숨어 있으면 못 찾을 줄 알았는
데
, 어떻게 된 거지? 뭐? 저 멀리 있는 CCTV가 아까 내 얼굴을 식별한 거라고? 흠…. 똑똑한 생체 인식 기술 때문에 더 이상 도둑질을 하기는 어렵겠어. 그렇다면 나도 몸 열쇠를 새롭게 개발해서 돈을 벌어야겠군!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특징 때문에 그동안 저의 진화학적 위치에 대한 과학자들의 의견이 서로 달랐어요.그런
데
얼마 전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이 우리 안경원숭이의 ‘트랜스포존’ 유전자를 분석했어요. 그결과 안경원숭이가 원원류보다 인간에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져 화제가 되고 있답니다. 우와! 그럼 인간에 더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반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밝혀졌답니다.# “저기가 출구 같아!”비밀과학수사대 친구들이 거울미로 안에서 한
데
모여 빛의 성질에 대해 연구한 결과 미로를 차분히 빠져나올 수 있었어요. 미로 속에서 긴장했던 시원이는 출구에 도착하자마자 다리에 힘이 풀렸어요. 다른 친구들도 하나둘 땅바닥에 앉아 잠시 휴식을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발전했어요. 수많은 사람들의 지문 정보를 저장했고, 이 정보를 이용해 범인을 잡는
데
이용하기 시작했지요. 또 손가락을 갖다 대기만 하면 되는 편리함 때문에 스마트폰과 금융 결제, 출입문 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가장 먼저 사용되기 시작했답니다. 특이점을 찾는다!지문에는 여러 개의 선이 ... ...
이전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