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우주에 떨친 알파우먼 파워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세계 여성의 날이었다. ISS에서 무사히 우주실험 임무를 마치고 돌아온 이 씨가 앞으로
우리나라
우주개발 역사뿐만 아니라 세계 여성 우주인 역사에도 큰 역할을 하기를 더욱 기대하는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 최초 우주인 12일간의 대장정 PART1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하나였다" ... ...
2. 세계는 지금 합성석유 삼매경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200년 동안 쓸 수 있는 양이죠.”정 박사는 앞으로 벌어질 수도 있는 석유대란을 대비해
우리나라
가 유지될 수 있는 최소한의 석유를 확보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석탄석유화라고 강조했다. 2차 세계대전의 독일이나 과거 남아공의 사례가 이를 잘 보여줬기 때문이다. 석탄액화기술(CTL)을 이용하면 ... ...
만능종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문제가 없다. 종이실은 재활용 종이를 새끼줄 꼬듯 실로 꼰 것.삼겹살은 종이 포일로 굽자
우리나라
사람들이 제일 좋아한다는 삼겹살은 불판 바닥에 알루미늄 포일을 깔고 구워야 제 맛이다. 포일의 열전도율이 좋아 고기가 잘 익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름이 쉽게 튀고 고기가 종종 탄다고 불만을 ... ...
한국 최초 우주인 12일간의 대장정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지구를 내려다본 이 씨는 어린 시절 꿈을 이뤘다. 이제 세계 우주 강국으로 발돋움하려는
우리나라
의 꿈이 싹트기 시작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 최초 우주인 12일간의 대장정 PART1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하나였다" PART2 우주에 떨친 알파우먼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통해 종합적인 연구를 하고 있어요. 세종기지는 이런 국제 연구과제에 동참해
우리나라
를 알리고 국익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기 위해 만들어졌답니다.성준 님의 말 : 세종기지에서는 그 동안 어떤 연구 성과를 얻었나요?항상 처음처럼 님의 말 : 2005년에 세종기지 근처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가 ... ...
“세종과학기지, 스무 살 청년 됐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세종기지의 뒤를 이을 제2의 남극기지를 세울 준비를 하고 있어요. 또 내년이면
우리나라
에서 만든 쇄빙선‘아라온호’가 남극 기지로 보내져 더 많은 연구활동을 돕게 돼요. 스무 살을 넘어 더욱 활발한 연구활동 준비에 한창인 남극에서 풍성한 과학소식이 들려오기를 함께 기대해 봐요 ... ...
식물로 지구를 시원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일반 콩보다 가는 털이 더 많은 콩을 개발해서 미국과 브라질 등에서 키우고 있어요.
우리나라
가 속해 있는 위도 30~60도 지역에 이 콩을 심으면 그 지역의 평균 기온이 1℃ 정도 내려갈 수 있을 거래요. 사람에게 유용한 먹을거리인 콩이 이렇게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까지 한다니, 정말 고마운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ISS를 볼 수 있다.서울을 기준으로 가장 관측하기 좋은 때는 4월 13일이다. 이날은 ISS가
우리나라
상공을 바로 가로질러 간다. 저녁 7시 50분쯤 북서쪽 카시오페아자리와 페르세우스자리 사이에서 2등급 밝기로 떠올라 5분 뒤 천정 근처에서 약 -4등급 까지 밝아진다. 그리고 2분 뒤 사자자리를 거쳐 동쪽 ... ...
추운 나라에서 온 손님, 겨울철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찾아와요. 시베리아 같은 추운 곳에서 날아와 겨울을 나려는 거예요. 이처럼 겨울에
우리나라
를 찾아오는 새들을 겨울철새라고 불러요.겨울철새들은 하늘 높은 곳에서 기다랗게 줄을 지어 이동해요. 앞에서 날갯짓할 때 생기는 기류를 뒤에서 받으며 날면 힘이 덜 들지요. 겨울철새들은 강이나 바다,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역시 결국 뒤끝이 안 좋다. 약삭빠른 식물은 바로 아프리카 들판에서 자라는 아카시아.
우리나라
아카시아와는 달리 아프리카 아카시아의 가지에는 커다랗고 속이 빈 가시가 나있다. 가시를 열어보면 안에는 개미가 우글거린다. 아카시아가 개미집을 마련해 준 셈이다. 게다가 당분을 분비해 개미를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