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효과
결과
영향력
여파
작용
효능
효험
d라이브러리
"
영향
"(으)로 총 7,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점프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물체 크기가 수 mm 이하일 때만 그
영향
을 크게 느낄 수 있다. 크기가 더 커지면 중력의
영향
이 훨씬 더 강해진다. 작은 세계에서만 느낄 수 있는 표면장력은 우리에게 먼 얘기가 아니다. 표면장력의 지배를 받는 물리 현상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고, 표면장력을 이용해 먹이를 먹는 새도 있다.1. ... ...
어질어질 우주멀미도 실험열정 막지 못해!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막아뒀다. ISS에 실험 장치를 두기로 한 위치가 환한 곳이 아니라서 빛이 생장에 미치는
영향
이 잘 나타나지 않으면 어쩌나 걱정이 됐다. 하지만 ISS의 벽은 빈 부분을 찾기 힘들만큼 여러 가지 물건이 가득 붙어 있어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매일 한 번씩 싹이 튼 모양을 사진으로 찍고 기록했는데, ... ...
천문대에서 역사와 문화 배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전해졌다. 이것은 황도 12궁이 ‘쌍어문’의 물고기자리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는 데
영향
을 줬다.책 곳곳에 있는 ‘별 여행 가이드’도 도움이 된다. 별을 관측할 때 필요한 장비와 천체 망원경의 구조와 기능, 북극성을 기준으로 방향 찾는 방법 등을 상세히 실었다. 하늘 미술관에 갈 때 숙지하면 ...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개념을 바꾼 상대성 이론은 비단 물리학뿐 아니라 언뜻 거리가 멀어 보이는 철학에까지
영향
을 미친 엄청난 파급력을 가진 개념이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상대성 이론은 인류 최고의 지성이 받는다는 노벨상은 받지 못했다. 아인슈타인이 1921년에 받은 노벨 물리학상은 상대성 이론이 아닌 ... ...
트랜스지방이 함유된 음식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응용된다핵폭발실험에 의해 생기는 방사성 낙진 속에도 들어 있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영향
이 문제가 된다미국의 세균학자 A 세이빈이 발명한 경구용(經口用) 소아마비예방 생(生)백신 주사용으로 쓰이는 솔크 백신과는 달리 시럽 또는 과자처럼 생겼다이것은 독성이 전혀 없는 바이러스를 원숭이의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카니스 파밀리아리스(Canis familiaris).개의 학명이다. 사람과 가장 친한 동물이라서일까. 속명 Canis는 라틴어로 ‘개’란 뜻이고 종소명 familiaris는 ‘친숙하다’는 뜻이다. 실제로 개 ... 변화가 생겨 세포내 단백질 양이 달라진다. 그 결과 체형이나 특정 질병에 걸리는 경향에
영향
을 준다 ... ...
지구온난화와 제트기류의 합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우리나라가 오른쪽에 놓일 때 다량의 수증기를 공급받는지, 제트기류상 로스비 파동의
영향
으로 북쪽에서 찬 공기의 유입이 강화될지, 적도 태평양상 ‘엘니뇨-남방진동’(ENSO)의 강도, 티베트고원 주변에 눈이 덮인 면적이나 적설량이 중요하다.이들 가운데 제트기류의 로스비 파동은 고도 10km ... ...
PART3 수식으로 예측한 박태환 2관왕 가능성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수식의 분모가 1이 돼 그때 기록이 최고 기록이 된다. δ는 단기적으로 해당시점에 미치는
영향
을 고려한 것이다.먼저 박태환이 2004년 아테네올림픽 이후 자유형 200m, 400m, 1500m에서 거둔 기록을 살펴보자. 그동안 박태환은 자유형 3종목에서 자기 기록을 갱신해왔다. 기록은 50m 롱코스보다 25m ... ...
하늘이 내려준 돈줄기 빗물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양이온이 늘어나 pH가 높아진다(알칼리화).산성비와 먼지비는 빗물이용시설에 얼마나
영향
을 줄까. 2003년 11월 서울대 대학원 기숙사가 국내 최초로 빗물이용시설을 도입했다. 기숙사 지붕(면적 2098m2)에서 모인 빗물은 필터와 홈통(건물의 벽에 붙어 있는 수직 빗물 관으로 지붕에 모인 빗물을 ... ...
2000년 조지프 르두 교수의 기억 재강화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들려줬다. 기존 이론에 따르면 단백질을 못 만들더라도 이미 지니고 있는 기억에는
영향
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두 그룹 모두 소리에 공포로 몸이 얼어붙을 것이다.전날 소리를 듣지 않은 채 약물을 주입받은 쥐들은 예상대로 소리에 공포로 몸이 얼어붙었다. 반면 전날 소리를 듣고 공포상태에 있을 ... ...
이전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