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효과
결과
영향력
여파
작용
효능
효험
d라이브러리
"
영향
"(으)로 총 7,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신비에 다가가는 초대형망원경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8.4m짜리 반사경 7장을 조합해 지름 25m 주경을 만들고, 거대한 주경에는 중력과 바람의
영향
을 받아 반사경 표면이 휘어지는 현상을 시시각각으로 조정하는 능동광학을 적용한다. 부경에는 레이저를 관측 지점에 발사해 인공별을 만든 뒤 깜빡거림을 관찰하면서 대기층의 요동을 보정하는 적응광학을 ... ...
X선 영상에 예술 담는 의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감성의 원천이에요.”정 교수가 끊임없이 모으고, 만드는 취미를 갖게 된 데는 아버지의
영향
이 크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에서 공예전문대를 졸업한 아버지는 해방 후 부산 공업고등학교 교장을 지냈다. 예술적 감수성과 손재주가 뛰어났던 아버지는 특히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좋아했다.“아버지는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천재적인 수학자도 나오지만 다른 사람들의 업적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성경만큼이나
영향
력이 큰 ‘기하학 원본’을 쓴 유클리드의 인내와 2차세계대전 패전으로 몰락한 일본에서 배를 주려가며 수학 공부에 정진해 수학계의 노벨상인 필즈상을 수상한 헤이스케의 집념도 소개돼 있다. 책 말미에 ... ...
맞바람에 전진하는 요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끼워 넣는 방법이다. 요트의 선체는 가벼울수록 물에 잠기는 면적이 작아져 파도의
영향
을 덜 받고 수면 위를 날듯이 항해할 수 있다.돛대와 제내커의 한 쪽 끝을 지탱하는 바우스피릿(bow spirit)은 바람의 힘을 직접 받기 때문에 인장강도가 높으면서도 가벼운 금속을 사용했다. 돛대에는 알루미늄 ... ...
2. 식물에서 찾은 다이어트 묘약?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연구보고서에서 평균 체중 약 99kg의 비만환자 100명을 상대로 자몽 섭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하루 3번 식사 전 자몽을 반 쪽 먹은 그룹은 몸무게가 평균 4.5kg 줄었고, 매 식사 전 자몽주스를 마신 그룹은 평균 1.5kg 감소했다. 이는 자몽을 먹지 않은 그룹이 평균 0.2kg만 감소한 것에 ... ...
3. 기네스 기록 도전하는 LHC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36테슬라(T)의 자기장을 만들어 양성자들의 ‘탈선’을 막는다. 이는 인류 생활에 막대한
영향
을 미치는 지구자기장의 약 10만 배에 이르는 크기다.이렇게 큰 자기장을 만들 수 있는 이유는 초전도현상 때문이다. 초전도현상을 이용하면 도선에 저항이 없고 전력 소모도 없이 전류를 흘릴 수 있다. ... ...
1957년 조지 윌리엄스 교수의 자연선택 담은 노화진화이론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노화 연구에 큰 영감을 줬다”며 “진화, 분자 생물학, 유전학 연구가 합쳐져 노화에
영향
을 주는 유전자가 여럿 발견됐다”고 평가했다.윌리엄스 교수의 노화이론은 조금이라도 젊게 보이려고 애쓰는 사람들이 자신의 숙명(!)을 받아들이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 ...
북극빙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비행기의 속도가 음속의 80%(마하 08)를 넘으면 익면(翼面)상에 충격파가 발생하는데 그
영향
을 억제하여 날개의 공기저항의 급격한 증대를 일으키지 않도록 날개의 단면형을 만든 것이다 전파수신방식의 하나 수신 전파를 주파수 변환하여 일정 주파수의 중간주파증폭기로 충분히 증폭도와 선택도를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자는데, 이때 세로토닌의 양에 변화가 생긴다. 뇌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은 식욕중추에
영향
을 주는 물질이므로 그 분비량이 적어지면 식욕도 떨어진다.반면 잠도 못 자는데 살이 찐다는 사람들이 있다. 잠을 못 자면 그렐린의 농도가 높아져 식욕이 당긴다. 2008년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패트릭 ... ...
체질의 비밀 밝히는 '이제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하얀색, 노란색, 검은색 설태 순으로 점수가 낮아진다. 김 박사는 “설진기는 환경의
영향
을 받지 않아 눈으로 볼 때보다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제마 프로젝트’가 가장 공들이는 연구는 체질별 유전자 분석이다. 가령 사상의학에서는 같은 비염 환자라도 태음인은 호흡기능이 ... ...
이전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