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가
엔지니어
기사
기교가
앤지니어
기술가
기능공
d라이브러리
"
기술자
"(으)로 총 832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금술을 발명한 신 헤르메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연금술사는 ‘알키미스타’(Alchemista)라고 불렸지요. 중세로 들어오면서 연금술
기술자
들은 유럽 언어에 맞는 새로운 이름을 얻게 됩니다. ‘알’(al-)이 탈락한 ‘키미스타’(Chimysta)가 그것입니다. 오늘날의 영어에서 ‘화학자’는 어떤 이름으로 불리지요? ‘케미스트’(Chemist)이지요.근대 과학의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하기 위해서는 거의 모든 분야를 섭렵할 자세가 돼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또 과학
기술자
도 일단 기업을 세웠다면 영업 마인드를 가져야 합니다. 기술이 있으면 벤처가 되지만 결국 벤처도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 ...
세계7대 불가사의 탄생 과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없었다. 필론은 많은 책을 저술한 작가로서 언어학의 대가로 알려졌지만 원래는 기계
기술자
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사람이다.작자에 따라 목록 제각각사실 고대로부터 세계 7대 불가사의가 확정돼 있었던 것은 아니다. 기원전 2세기와 14세기까지 적어도 불가사의로 불리던 기념물은 수없이 많았다. ... ...
정상인 능가하는 감동의 스포츠드라마 파랄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나타내고 있는 원인은 무엇일까.보스턴마라톤 주최측은 1975년 미국의 소아마비 기계
기술자
밥 홀이 휠체어를 타고 마라톤경주에 참여하겠다고 처음 신청했을 때, 일반주자에게 방해가 된다고 생각해 허락을 망설였다. 그러다가 3시간대 이내로 완주할 경우 후에 휠체어마라톤을 정식경기로 허락할 ... ...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홈을 타고 올라간다는 것이다. 이 방식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비롯한 중세시대의
기술자
들이 실현시키려고 했던 기술이기도 하며, 광산의 지하에서 물을 퍼올리거나 고층 건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됐다.첫번째 방식의 경우 물을 상부로 올리는 체인이 밖에서 보일 수밖에 없다는 단점 ... ...
세계의 사장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설계가 가능하듯이,시공도
기술자
의 선택 폭이 대단히 넓어 설계와 시공 그 자체가
기술자
에게 부여된 하나의 창조작업이라고 할수 있다.앞에서 소개한 큰 규모의 다리들 외에도 공원의 보도교,도로상의 육교 등 작은 규모의 다리,계곡을 가로지르는 다리와 같이 주변 자연과의 조화를 필요로 하는 ... ...
1. 신기술이 제조해 온 신기록의 변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세계대전 이후인 1948년 새로운 디자인이 도입됐다. 항공산업의 영향으로 노만 벅이라는
기술자
는 전쟁잉여물자였던 사각형 알루미늄관 3백개를 서로 맞물려 제작했다. ‘벅 보드’는 곧 좀더 강하고 가벼운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작된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1960년대에는 다이빙보드의 탄성이 향상돼 ... ...
에릭슨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모두 보유그러나 이렇게 적극적인 에릭슨도 나름대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뛰어난
기술자
를 많이 보유하고 있기는 하지만 경쟁업체인 실리콘밸리에 있는 시스코처럼 빠르게 일들을 진행시키지는 못한다. 여러 사업부문을 포괄하다보니 덩치가 커져 통신업계의 핵심인 기동성이 부족해졌기 ... ...
색맹 병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개인이나 기업이 참조하도록 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기관사, 조종사, 보석감정사, 전기
기술자
등 색 구분이 무엇보다 중요한 몇몇 직종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색각이상자에 대한 취업제한을 두지 않고 있다. 그리고 만약 진학이나 취업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면 대통령 직속 위원회에 바로 ... ...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통일이 된다면 결국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한국을 방문한 독일의 한 통신
기술자
는 “독일은 통일 전에 정보통신 분야에서 많은 기술 교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통일 후 기술적으로 많은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다.북한 정보통신 전문가인 박찬모 교수는 “북한의 정보통신 기술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