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가
엔지니어
기사
기교가
앤지니어
기술가
기능공
d라이브러리
"
기술자
"(으)로 총 83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비자와 직접만나는 델컴퓨터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산 메모리칩을 고작 1센트만 받고 팔아 넘겼다.두번째 시련은 고객의 요구를 무시하고
기술자
들 위주로 신제품을 개발한 것이 화근이었다. 1989년 델컴퓨터는 ‘올림픽’이란 암호명으로 비밀리에 신제품을 개발했는데 여기에는 디스크나 그래픽 같은 뛰어난 기술이 있었지만 고객들의 반응은 ... ...
인터넷 재앙 해킹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윤리, 그리고 해킹 기술을 지도해주고 있다. 해커즈랩은 해킹에 대한 전문
기술자
와 보안
기술자
들이 모여서 지적 탐구욕이 왕성한 청소년들을 올바르고 유용한 방향으로 이끌어가려고 구성된 사이버 단체이자 공간이다.오류가 없는 완벽한 프로그램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프로그램 오류를 ... ...
벤처의 출발점 자신을 못견디게 하는 그 무엇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그들의 선택은 지극히 명쾌했다.또다시 봉급이나 타먹는
기술자
로 남느니 창업이 낫겠다는 것이었다.스페이스 일루젼은 1998년 12월 탄생했다.그동안 닦아놓은 가상현실,3D기술을 무기로 낸 출사표였다.창업자금은 IBRD에서 2년 거치 3년 상환이라는 조건으로 받은 5천만원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낙서 이후 유물로 남은 마방진은 뒤러의 4행 4열 마방진이다. 16세기 초 독일의 광석
기술자
였던 알브레히트 뒤러는 자신의 관뚜껑에 ‘멜란콜리아’라는 4행4열의 마방진을 새겨놓았다. 그리고 이 마방진의 맨 아랫줄 가운데 두칸의 숫자는 15와 14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이를 연속해서 쓰면 그가 죽은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근처의 칼리닌그라드로 옮기고, 글라그(소련의 노동수용소)에 수용 중인 독일 로켓
기술자
들을 석방한 후 V2로켓 제작에 투입했다. 그러나 그곳의 시설은 매우 열악했다. 강철 스프링을 사용하기 위해 알람시계를 분해해야 할 정도였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고 첫번째 러시아산 V2로켓이 1947년 10월에 ... ...
라디오파로 영상 전송 가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라디오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방식과 같다.영국 랭카스터 대학과 국방연구평가원의
기술자
들이 주축이 된 연구팀은 라디오파가 소리뿐 아니라 데이터도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해 디지털 카메라와 라디오 수신기를 연결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해 카메라로 찍은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다시 한번 달을 보자. 달착륙이라는 인류의 도전을 위해 노력했던 미국과 러시아의 과학
기술자
들을 생각하면서. 어제와는 다른 달을 보자. 단순히 한 인간이 달에 깃발 하나를 꽂고 온 달이 아니고 물의 발견으로 새롭게 우리를 유혹하고 있는 달을 말이다. 그리고 잊혀졌던 달기지 건설의 부활을 ... ...
Ⅰ. 미래 직업의 가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의외로 과학자가 가장 많이 포함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세계사를 바꾼 과학자왜 과학
기술자
가 이처럼 많이 포함돼 있을까. 저자인 마이클 H.하트는 이렇게 설명한다. "역사책은 정치적 사건의 기록에 많은 페이지를 할애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서는 과학기술상의 진보가 ... ...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굴복시킨 결과였다. 영국은 1952년 세계에서 3번째로 핵폭탄을 보유했다.4천5백여명의 과학
기술자
들이 참여한 맨해튼계획은 노벨상의 등용문으로도 유명했다. 에드윈 맥밀런(1907-1991, 1951년 노벨화학상), 리차드 파인만(1918-1988, 1965년 노벨물리학상), 노먼 램지(1915-, 1989년 노벨물리학상) 등은 ... ...
텔레비전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너무 많은 전선이 들어가는 게 최대 결점이었다.케리가 안고 있는 문제는 1884년 독일 전기
기술자
파울 고틀리베 닙코프(1860-1940)가 해결해냈다. 그는 셀렌 광전지판 앞에 24개의 구멍을 뚫은 원판을 두고 이를 모터로 돌렸다. 구멍을 통해 물체의 이미지를 담은 빛이 순차적으로 광전지에 도달하기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