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스페셜
"
바로
"(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휘어지는 빛
2021.06.11
페르미를 묻는 질문은 던지지 않는다. 태양을 스쳐오는 별빛을 관측하기 위한 해결책은
바로
달에 있다. 우리에겐 달이 있다. 아주 우연히도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의 시지름과 태양의 시지름이 똑같다! 달은 지구보다 4배 작고 태양은 지구보다 약 100배 크다. 한편 달과 지구의 거리는 달과 태양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빛
2021.06.08
넓어 낮에 햇빛이 꽤 들어오는 밝은 실내라도 자외선(UV) 차단 코팅이 된 유리라면
바로
옆의 보랏빛 영역도 거의 차단된다. 실내에서도 보라색을 보는데 문제가 없으므로 좀 의아할 수도 있겠지만 이 보라색에는 진짜 보랏빛이 거의 포함돼 있지 않다. 노란빛 파장이 없어도 양옆의 녹색빛과 ... ...
국산 코로나 백신 확보 핵심관문 '임상3상' 난관 넘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6.07
않은 상황이다. 제넥신은 “인도네시아 정부는 제넥신 백신이 긴급사용 승인되면 현지에
바로
공급할 수 있는 1000만도스 선구매 계약을 했다”며 “성공적으로 임상을 진행해 국내에도 공급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셀리드는 지난달 인도네시아 보건당국에 임상3상을 위한 의사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코로나 시대'의 보통과학자 그리고 과학지식인
2021.06.03
9 사태에서 언론의 가짜뉴스와 싸우며 현장의 치열함을 전하고 있는 이재갑 교수 등이
바로
그들이다. 한국사회는 코로나19라는 위기를 통해 과학기술계와 의학계에서 평범하게 살고 있던 과학지식인들을 소환했다. 코로나19 자체는 비극이지만 이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얻게된 이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 시대에 꿈자리가 사나워진 이유
2021.06.01
상황을 경험하게 되면서(시뮬레이션) 뇌의 과적합이 완화된다. 꿈의 현상적 특징이
바로
DNN의 노이즈 주입의 특징이다. 꿈의 엉성함은 ‘드롭아웃(dropout)’ 이라는, 일부가 손실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노이즈 주입 기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환각은 기존에 학습한 데이터의 범주를 파괴하는 ... ...
[인간 행동의 진화] '남 잡이가 제 잡이'
2021.05.30
못했다. 다들 상당히 평등하다. 현대 사회에서도 제한적으로 이런 일이 일어난다.
바로
전문가 집단이다. 의사나 변호사는 단독으로 개업하는 오랜 전통이 있다. 의대나 법대, 그리고 이후의 수련 과정은 엄격한 위계질서에 기반하고 있지만, 일단 동업자 자격을 얻게 되면 협력의 이득이 급감한다. ... ...
"맞고 싶은데"…잔여 백신 예약, 인기 뮤지컬 티켓팅보다 어려워(종합)
연합뉴스
l
2021.05.28
'잔여량 0' 위탁의료기관 "전화 예약자까지 접종 끝내야 잔여분 생길 것" 27일,
바로
오늘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 백신을 접종하는 '그날'이 될 줄 알았다.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네이버와 카카오 앱을 이용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잔여 백신 ... ...
미국서 접종자에 마스크 규제 풀자 백신에 관심 높아져
연합뉴스
l
2021.05.28
"이것은 인센티브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사람들은 당근이 필요했고, 그 당근은
바로
대부분의 상황에서 마스크를 벗을 수 있다는 점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CDC가 이런 대화를 더 자주해야 한다"며 "과거엔 그저 파멸과 암울함뿐이었다. 하지만 이 데이터가 보여주는 것은 대중들에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검증
2021.05.27
천왕성은 오랜 시간 노출을 하며 촬영해 행성이 둥글지 않고 늘어나 보인다. NASA 제공
바로
해왕성의 경우였다. 고대로부터 밤하늘에서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는 행성은 토성까지였고, 망원경을 이용해 처음으로 발견한 행성이 천왕성이다. 천왕성은 겨우 1781년에 이르러서야 독일의 윌리엄 허셜과 ... ...
[르포]이산화탄소, 화학원료 '나프타'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화학연 제공 연구팀은 재생에너지 활용을 위해 2017년부터 이산화탄소를 낮은 온도에서
바로
반응시켜 나프타로 만드는 공정을 개발해 왔다.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화학 원료로 바꾸는 공정은 800도 이상 높은 온도에서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바꾼 다음 다시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