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스페셜
"
바로
"(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땅위 인공태양 실현하는 극한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1.04.29
사이의 상호작용 규명에 활용하는 계획을 세웠다. 포스텍 고에너지 플라즈마 연구실
바로
가기 https://youtu.be/hd1wFQl9uZ0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개발까지 다양한 ... ...
세포 담은 스텐트로 재협착 부작용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9
세포외기질만 남겨 다른 의료소재를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세포를 스텐트에
바로
부착하지 않고 세포외기질을 새로 만들어 세포를 담을 공간을 두는 이유에 대해 정 책임연구원은 “혈관 안에서는 혈류가 주는 압력이 높아 부착된 세포가 이를 견딜 수 없다”며 “세포를 얹어 조직과 ... ...
코로나19 바이러스, 72도에 1초 노출해도 무력화...환기 시스템 적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4.28
못했다. 한 교수팀은 코로나바이러스가 담긴 용액을 튜브에 넣고 고온으로 가열한 다음
바로
냉각하는 방법으로 코로나바이러스에 짧은 시간 열을 가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코로나바이러스는 짧은 시간만 고온에 노출돼도 대부분이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가열 온도와 ... ...
[랩큐멘터리]저전력 회로기술로 더 많은 센서 연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7
구축하는 목표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포스텍 아날로그 직접회로 시스템 연구실
바로
가기 https://youtu.be/9OFUgPLhdf8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개발까지 다양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210만 년 원시적 뇌 구조를 지닌 인류가 1차로 서아시아로 진출했다. 이들의 후손이
바로
드마니시인이다. 그리고 약 150만 년 전 현대인에 가까운 뇌 구조를 지닌 인류가 2차로 유라시아로 진출해 동쪽으로는 한반도까지 이르렀다. ○ 뇌 구조 변화와 석기 기술 발전 시기 겹쳐 180만 년 전 ... ...
[인터뷰]공채1기 프로파일러 출신 배우 김윤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4.24
모습. 김윤희 제공 Q. 프로파일러는 무슨 일을 하나? 드라마에서 프로파일러가 ‘네가
바로
범인이야!’라고 외치며 범인을 지목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하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 ‘프로파일(Profile)’이라는 단어가 ‘윤곽을 그리다’라는 뜻인 것처럼 프로파일러도 범인의 윤곽을 그려주는 ... ...
[랩큐멘터리]암도 진단하고 유해가스도 탐지하는 새로운 코를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2
병행해 새로운 구조역학 연구를 개척하고 있다. 포스텍 극한구조역학연구실
바로
가기 https://youtu.be/8pSV0pFiHfM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개발까지 다양한 모험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동 연구는 과학을 혁신할까
2021.04.22
않는다면, A라는 논문은 분야 ‘파괴적’ 성격의 논문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이처럼 새로운 논문 인용도의 계량법을 들고, 이 논문의 저자들은 6천 5백만건의 논문의 인용도를 조사하는 과학적 방법을 통해 연구그룹의 규모와 해당 논문의 통합적 혹은 파괴적 성격의 상관관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시장이 반찬인 이유
2021.04.20
정보가 대뇌피질로 전달될 때 거쳐 가는 중계기지다. 후각 정보는 시상을 거치지 않고
바로
대뇌의 후각피질로 간다. 그런데 뜻밖에도 시상이 음식 냄새의 선호도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한편 시상까지 뻗은 AgRP뉴런 축삭의 말단에서 나오는 신경전달물질은 AgRP가 아니라 ... ...
[랩큐멘터리]유전자 스위치 찾아 뇌의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뇌 질환을 해결하는 연구가 가능할 수 있다는 기대다. 포스텍 신경후성유전학 연구실
바로
가기 https://youtu.be/Pm2gJlrzIm8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개발까지 다양한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