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뉴스
"
년
"(으)로 총 32,025건 검색되었습니다.
[잠깐과학] 1861
년
1월 15일, 승객을 위한 안전한 엘리베이터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안전합니다, 여러분. 안전해요!” 1854
년
미국의 발명가 엘리샤 오티스는 뉴욕 세계박람회에서 자신이 발명한 엘리베이터를 관중에게 처음 선보였습니다. 오티스는 엘리베이터에 탑승해 9m 높이까지 올라간 뒤 조수에게 엘리베이터에 연결된 밧줄을 끊으라고 지시했어요. ... ...
구글 알파폴드, 환각 분자 수십만 개 발견…항우울제 개발 돌파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딥마인드가 알파폴드를 이용해 항우울제 후보물질을 찾고 있다. 딥마인드 제공. 구글 딥마인드의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AI) ‘알파폴드’가 환각을 일으키는 ... 말했다. 알파폴드가 유용한 항우울제 후보물질을 발견하기까지는 앞으로 몇 달에서 몇
년
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았다. ... ...
[과기원NOW] KAIST ‘질문다락방 캠프’ 20일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수 있는 ‘2024 KAIST 질문다락방 캠프’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질문다락방은 KAIST가 2021
년
개설한 온라인 질문 플랫폼이다.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이 제시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자유롭게 질문을 만들고 KAIST 교수진이 우수 질문을 선정해 논의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20일부터 1박 2일간 KAIST ... ...
"中, 코로나19 발생 발표 2주 전 바이러스 존재 알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이같은 내용의 문건을 제출했다. 문건에 따르면 중국 과학자들은 지난 2019
년
12월28일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SARS-CoV-2 의 염기서열 분석 자료를 연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했다. 당시 중국 우한에서 잇따른 폐렴 증상에 대해 중국 당국은 원인을 알 수 없다며 2020
년
1월11일이 돼서야 ... ...
암 종양·롱코비드 원인, '피'는 알고 있다…진화하는 혈액검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연구팀은 코로나19를 앓고 있거나 감염 이력이 있는 6596명의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1
년
간 혈액 구성의 변화를 관찰해 이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코로나19 후유증이 발생한 환자들은 후유증을 앓지 않은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혈청단백질에서 응고나 조직 손상이 더 많이 발견됐다. 이는 염증 ... ...
인공위성 '빛 공해'에 자구책 마련 나선 천문학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스타링크'를 위한 위성 발사 등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천문학계는 수
년
전부터 비상이 걸렸다. 저궤도 위성이 태양 빛을 반사하는 등 천체망원경 관측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단기간에 가장 많은 위성을 쏘아올린 스페이스X에 해결책을 요구하자 스페이스X가 위성의 빛 반사율을 낮춘 ... ...
[과기원NOW] KAIST, 올해 '창업기업 100개 목표' 수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기업 대표들이 참석했다. 올해부터 본격 가동되는 지스트기술지주 주식회사는 2030
년
50개 출자회사 설립 및 총 매출 20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한다. 유망기술 발굴 및 기술사업화 지원을 통한 출자회사 설립지원, 기술마케팅 등 분야별 맞춤형 액셀러레이팅, 투자자와의 전략제휴를 통한 대형 기획창업 ... ...
암 진단율은 늘고 사망률은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사망률은 특히 치료법 개선의 영향을 크게 받은 암종이다. 협회는 “1980
년
대와 1990
년
대엔 전이성 유방암은 곧 ‘사형 선고’로 간주됐다”며 “하지만 전이암을 포함한 유방암 사망률은 1975
년
10만 명당 48명에서 2019
년
27명으로 감소했다”고 말했다. 암 진단의 민감도가 높아지면서 암 진단율이 ... ...
인류가 '본' 최초 블랙홀 M87…1
년
뒤 고리 밝기 변화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2017
년
에 발표된 최초의 M87 블랙홀 이미지를 다시 한번 검증했을 뿐만 아니라 1
년
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변하는 고리의 모습을 포착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지속적인 블랙홀 관측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 ...
조성경 "모욕과 망신주기식 의혹"…학계 "1대1 토론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것은 7월 초다. 과기정통부는 다음 달인 8월 22일 2023
년
대비 3조 4000억 원 축소한 '2024
년
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내놨다. 조 차관은 "R&D 카르텔 사례를 제시하고 R&D 시스템을 혁신하려는 정책을 추진하려는 시점에 정책 추진에 대한 건전한 비판이 아니라 모욕과 망신주기식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