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수학, 잠든 그림에 숨결을 넣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구분하기 어려워진거죠. 도브시 교수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만들어 이 둘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이 새로운 방법은 앞으로 더욱 정교한 복원 작업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프랑스어로 대답을 하면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의 표정이 밝아진다고 한다. 바로 홀
데
인 교수의 부인이 프랑스 사람이라 프랑스어로 대화하는 건 집에 오라고 부르는 것이기 때문! 회의 끝~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조언해줬어요. 문제를 풀 방법을 궁리하다 보면 저절로 수학은 잘하게 된대요. 그런
데
수학을 싫어하면 책상 앞에 앉아 있을 때만 수학 생각을 하게 되니까 잘하고 싶다면 수학을 좋아해야 한대요. 를 읽으면서 수학의 재미를 느끼다 보면 수학을 잘하게 되지 않을까요 ... ...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학원이나 독서실에 가는 학생이 많아 처음에는 방과 후 활동이나 동아리를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둔촌고는 다시 ‘자율’을 선택했다. 학생들이 교육에 참여하는 시간까지 자율적으로 바꾼 것이다. 학생들이 원하는 시간에 이용할 수 있게 점심시간과 방과 후에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더미스 프로드로마키스 교수는 “나노크기의 멤리스터를 통해 신경회로의 빅
데
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공식화할 것”이라며 “뇌를 이해하는 기술적인 패러다임 자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0월 7일자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움직이고, 또 로봇 팔이 사물에 닿을 때 촉감을 느끼게 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뇌에 소형 전자장치를 넣어 뇌의 전기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해 기계를 작동시키는 뇌-컴퓨터 접속(BCI)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실험에 참가한 네이선 코플랜드는 불의의 사고로 사지마비 장애를 ... ...
[과학뉴스] X선으로 밝힌 그리스의 도자기 예술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미국 스탠퍼드대 캔토아트센터 연구팀과 SLAC 국립가속기연구소 연구팀이 강력한 X선을 이용해 고대 그리스 도자기에 그려진 그림의 성분을 밝혀냈다.연구팀은 도 ...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의 온라인 과학뉴스 매체 ‘사이언스
데
일리’ 10월 13일자에 소개됐다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자동차를 만들었다.대가들이 모여 분자기계를 논하다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를 만드는
데
성공한 이들이 모두 한 자리에 모인 역사적인 날이 있었다. 2007년 11월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에서 열린 ‘솔베이 콘퍼런스’에서였다. 물리학과 화학계의 중요한 문제를 논의하는 회의로 1911년부터 3년마다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돌아올 때 필요한 연료를 미리 화성에 보내놓는 방법을 선택했다. NASA는 물자를 수송하는
데
사용할 차세대 엔진까지 개발하고 있다. 태양열을 이용해 이온을 가속시켜 추진력을 얻는 ‘태양 전기 추진(SEP)’ 방식이다.SEP 엔진의 추진제는 비활성 기체인 제논(Xe) 가스다. 제논 가스를 이온화시킨 뒤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말을 듣고 싶어하는 유가족은 없다.프라이버시 침해라는 비판 속에서도 사람들의 DNA
데
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범죄 사건 해결에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곤 한다. 그만큼 범죄 수사 영역에서 DNA의 역할이 크다는 반증일 것이다. 하지만 ‘언제나’ DNA가 답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 ...
이전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