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우울할 땐 암산이 약이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여러분은 우울할 때 어떻게 하시나요? 맛있는 음식을 먹는 사람도 있고 노래를 부르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
데
최근 미국 듀크대 연구팀이 암산을 하면 우울함과 ... 맞아 떨어진다”며, “이 연구가 우울감과 불안감을 낮추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
데
쓰이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 ...
하트와 홀름스트룀, 그리고 ‘계약 이론’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확률의 역할이지요. 사회 현상은 자연과학처럼 실험을 해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데
이터를 토대로 선생님의 노력이 학생의 성적을 높일 확률을 구해서 둘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겁니다.윤성호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수학은 경제학에서 어떤 주장이 맞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는 ... ...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학원이나 독서실에 가는 학생이 많아 처음에는 방과 후 활동이나 동아리를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둔촌고는 다시 ‘자율’을 선택했다. 학생들이 교육에 참여하는 시간까지 자율적으로 바꾼 것이다. 학생들이 원하는 시간에 이용할 수 있게 점심시간과 방과 후에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한국인 표준 유전체’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들어 있는 모든 유전 정보다. 생김새와 체질, 재능,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 등 생존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모든 유전적인 정보가 30억 개가 넘는 염기쌍 배열 안에 들어 있다.서정선 교수팀은 염기서열을 기존보다 100배나 빨리 읽는 독자적인 방법으로, 이전에 밝혀지지않았던 곳까지 찾아냈다. 가장 ... ...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규슈대 의대 하야시 카쓰히코 연구팀은 배양 접시에서 쥐의 피부 세포를 난자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암컷 쥐의 꼬리에서 피부 세포를 만드는 섬유아세포를 추출해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든 뒤 원시 생식세포로 분화시켰다. 여기에 쥐의 배아에서 추출한 난소 세포를 섞어 배양했다. ... ...
[과학뉴스] X선으로 밝힌 그리스의 도자기 예술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미국 스탠퍼드대 캔토아트센터 연구팀과 SLAC 국립가속기연구소 연구팀이 강력한 X선을 이용해 고대 그리스 도자기에 그려진 그림의 성분을 밝혀냈다.연구팀은 도 ...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의 온라인 과학뉴스 매체 ‘사이언스
데
일리’ 10월 13일자에 소개됐다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자동차를 만들었다.대가들이 모여 분자기계를 논하다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를 만드는
데
성공한 이들이 모두 한 자리에 모인 역사적인 날이 있었다. 2007년 11월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에서 열린 ‘솔베이 콘퍼런스’에서였다. 물리학과 화학계의 중요한 문제를 논의하는 회의로 1911년부터 3년마다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눈여겨 보고 있다. 이 기술은 지구에서 도 ‘핫’한 기술로 2015년 중국의 6층 주택을 짓는
데
에도 활용됐다. 이 기술은 재료(주로 콘크리트)를 층별로 쌓아 올리는 적층 방식으로 건축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NASA는 황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는 콘투어 크래프팅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보강하고 지하수가 새어 나오지 않게 만든다. 장 선임연구위원은 “지하공간을 만드는
데
필요한 전체 기술을 독자적으로 새로 개발한 것”이라며 “올해까지 기술 개발을 모두 완료하고 국내 폐 광산 리모델링 사업에 실제로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하에 태양빛 끌어와 식물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속뜻을 헤아리거나 상황을 파악하는 것처럼 복잡한 사고를 하는 것도 지능을 발달시키는
데
한몫했다. 이 모든 활동의 근원에 외로움이 자리하고 있을 수 있다.외로움 이기려면 SNS 밖에서 만나라요즘은 SNS와 인터넷의 발달로 굳이 직접 만나지 않아도 다른 사람이 요즘 어떻게 지내는지, 무엇을 먹고 ... ...
이전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