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없이 만난다. 새벽에도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을 정도로 친해졌다. 서로 생각을 나누는
데
부담이 없다 보니 자연스레 새로운 아이디어도 많아졌다. 그렇게 나온 결과물이 ‘이비인후과용 질환 진단 보조 내시경 시스템’이다.이비인후과에서 중이염이나 부비동염 등 주요 질환을 진단할 때 근거로 ... ...
[수학뉴스] 내 수학 점수는 아빠 때문?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아무리 봐도 아빠랑 똑 닮은 내 얼굴. 혹시 수학 실력도 닮지 않았을까요? 최근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팀은 부모와 자녀의 수학 능력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성별, 학력 등으로 세분화해서 연구해 가정에서 수학 우등생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힘 쓸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데
쓰였다. 상호작용이 불가능하다는 보스-아이슈타인 계의 열역학적 함수를 유도하는
데
도 쓰였다.이런 라마누잔에 대해 페이스북의 설립자 마크 저커버그는 “라마누잔은 한 권의 수학 교과서를 가지고 현대 수학을 통째로 재창조하고 그 분야를 전진시켰다”며, “만약 그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 ...
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지역별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알려주지는 않아요. 정보를 모으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에요.일본 정부는 최대한 많은 정보를 모으기 위해서 트위터와 이메일로 피해 복구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받았어요. 중재자가 정보가 거짓인지 아닌지 따져 도움이 되는 정보라고 판단하면 ... ...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학원이나 독서실에 가는 학생이 많아 처음에는 방과 후 활동이나 동아리를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둔촌고는 다시 ‘자율’을 선택했다. 학생들이 교육에 참여하는 시간까지 자율적으로 바꾼 것이다. 학생들이 원하는 시간에 이용할 수 있게 점심시간과 방과 후에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움직이고, 또 로봇 팔이 사물에 닿을 때 촉감을 느끼게 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뇌에 소형 전자장치를 넣어 뇌의 전기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해 기계를 작동시키는 뇌-컴퓨터 접속(BCI)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실험에 참가한 네이선 코플랜드는 불의의 사고로 사지마비 장애를 ... ...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규슈대 의대 하야시 카쓰히코 연구팀은 배양 접시에서 쥐의 피부 세포를 난자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암컷 쥐의 꼬리에서 피부 세포를 만드는 섬유아세포를 추출해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든 뒤 원시 생식세포로 분화시켰다. 여기에 쥐의 배아에서 추출한 난소 세포를 섞어 배양했다.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위상 응집물리학은 물질을 분류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위상수학을 물리학에 접목시키는
데
성공했다. 뿐만 아니라 위상 양자계산과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 만큼, 향후 위상-응집-양자계산을 아우르는 분야에 대한 노벨상 수상도 점쳐볼 만하다. 위상 부도체와 양자계산 이론을 주도한 인물들의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눈여겨 보고 있다. 이 기술은 지구에서 도 ‘핫’한 기술로 2015년 중국의 6층 주택을 짓는
데
에도 활용됐다. 이 기술은 재료(주로 콘크리트)를 층별로 쌓아 올리는 적층 방식으로 건축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NASA는 황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는 콘투어 크래프팅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몬산토는 유전자변형농산물(GMO)의 유해성 논란에서 벗어나기 위해 해충이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단백질 생성을 방해하는 siRNA를 주입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꿀벌의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진드기 방제나, 유독성 살충제(DDT) 사용으로 논란을 빚은 콜로라도감자잎벌레 퇴치에도 siRNA ... ...
이전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