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매년 1000억원을 투자하는 미국과 일본을 두 축으로, 유럽연합은 200억, 2006년에 가입한
우리나라
도 매년 3억원을 투자하고 있다.IODP 회원국은 자국의 해역을 시추할 수 있는데, 지큐호가 와서 시추를 한다면 300억원에 이르는 비용을 절약하는 셈이다. 이 박사는 “현재 IODP에 울릉도 근방 해양지각의 ...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쓸 튼튼한 거미줄, 고치를 만들 섬세한 거미줄 등 여러 종류의 거미줄을 만들어요. 특히
우리나라
의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왕거미는 7~9종류의 거미줄을 만든답니다.강철보다 거미줄이 튼튼!거미줄을 이용해 빌딩 사이를 뛰어다니는 제가 위험해 보인다구요? 잘 몰라서 하시는 말씀이에요. 거미줄이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43등에 지나지 않아 눈에 띄지 않는 작은 별자리이다 이 별자리에 관한 신화는 없으며
우리나라
에서는 7원의 초저녁에 남쪽 하늘 나직이 이 별자리의 북쪽만이 겨우 보일 정도이다 탄화수소와 수증기를 촉매 존재하에 고온에서 반응시켜 수소 또는 합성가스(일산화탄소와 소소의 혼합가스), 메탄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활용한다.페트병의 무게를 더 줄이는 연구도 한창이다. 500ml 생수병 하나를 만드는데
우리나라
는 18g의 페트를 쓴다. 유럽의 일부 제품은 10g까지 줄인 병이 나오고 있다. 김정곤 박사는 “얇게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어느 정도의 무게를 견딜 수 있으면서 줄이는 게 관건”이라고 말한다.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학생들에게 인공위성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는 일이 훗날
우리나라
를 ‘우주강국’으로 만드는 첫 걸음이라고 입을 모은다.한국항공대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캔샛을 제작하는 수업을 2003년부터 매년 개설하고 있다. 10만 화소 디지털카메라 사진을 저장하는 SD메모리,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바라보는 세상은 뿌옇게 흐려 있어 답답하기 그지없다.2006년 대한안과학회의 조사 결과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절반 가량이 근시로 나타났을 정도로 요즘 주위에서 눈 좋은 사람을 찾기 힘들다. 그런데 태국의 원주민 모겐족은 시력이 9.0이라고 한다. 과연 시력 9.0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이야기일까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레터’ 특별호에 실렸다.2005년 말 개발을 마친 100kg급 소형위성인 과학기술위성 2호는
우리나라
우주개발 역사에서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과기부와 항우연은 내년 하반기에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우리 발사체(KSLV-1)에 실어 쏘아올릴 계획이기 때문. 과학기술위성 2호는 한국이 위성을 처음 ... ...
HDTV 다음은 3DTV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HDTV 이을 차세대 주자지난 2002년 세계인의 뜨거운 관심 속에 열린 한·일 월드컵에서
우리나라
는 세계 최초로 월드컵 축구경기를 3차원 입체영상으로 방송했다.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해 각각 다른 각도에서 경기 장면을 촬영한 뒤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들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띄워 맨눈으로 ... ...
예비우주인과 팀워크가 중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실험을 한 국가가 된다. 이후 고 씨는 앞으로 이뤄질 유인우주개발사업에 직접 참여하고,
우리나라
우주개발을 짊어지고 갈 학생들에게 꿈을 심어줄 과학문화사업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씨는 ‘한국최초우주인’이라는 역사적인 의미 부여와 함께 사회로부터 받는 대우도 달라진다. ... ...
국내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권위자 박성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우리나라
가 16메가 D램을 개발, 메모리용 반도체분야에서 선진국에 진입한 것과 맞먹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개가로 평가되고 있다.…”1990년 10월 24일 서울경제신문에서 대서특필한 기사의 일부다. 초당 명령어처리속도가 4000만회에 이르는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당시 미국제품과 비교해도 ... ...
이전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