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001건 검색되었습니다.
골다공증 원인 저칼슘혈증 일으키는 돌연변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차지하는 돌연변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때문에 부갑상선호르몬이
세포
수용체에 결합하는 능력이 저하된다고 봤다. 호르몬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해 혈중 칼슘 농도를 필요 수준만큼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시훈 교수는 “부갑상선호르몬에 어떤 장애가 생겼을 때 저칼슘혈증이 ...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NK
세포
대량증식 기술 30억원에 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5년 생존율이 5% 이하로 떨어진다. 새로운 치료방법이 필요한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NK
세포
시험에 나서는 것이다. 박상일 의학원 원장은 “이번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의학원에서 개발한 의료기술을 실제 상용화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유일한 의료기관으로써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그런데 몇몇 장내미생물에 SN-38G를 다시 SN-38로 바꾸는 효소가 있다. SN-38은 장벽의 상피
세포
를 공격해 심각한 설사를 일으킨다. 이를 막기 위해 항암제를 주사할 때 항생제 처방을 같이 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 장내미생물 균형이 무너져 장내유해균에 취약해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
세포
신호 전달자 ‘일산화질소’ 조절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 속도 차이를 활용하면 원하는 화학반응을 원하는 시간에 특정
세포
에서 일어나도록 조절할 수 있어 필요한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조재흥 교수는 “일산화질소를 필요한 시간 또는 위치에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이른바 ‘프로드러그(Prodrug)’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 ...
천식 발생과정 밝히는 ‘폐
세포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유전자의 이름과
세포
의 대분류를 지정하면 건강한 사람과 천식환자의 폐에서 영역별
세포
의 특성과 유전자 발현도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 네이처 메디신 제공 ... ...
“경계에서 꽃을 피워라” 소재에서 바이오까지 융합, 또 융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있다. 그밖에 지능형 바이오시스템설계 및 합성 연구단은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세포
공장을 연구한다. 이들 융합기술은 ‘현실에서 쓸 만한 기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장기지원을 통해 기초원천기술 연구가 특허 획득과 기술이전, 사업화 등으로 ... ...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움직이는 ‘옥토봇’을 내놓기도 했다. 최정우 서강대 교수 연구진도 생쥐 심장 근육
세포
를 이식해 몸을 움직이게 한 가오리 로봇을 개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 로봇은 구동 시간의 한계가 컸다. 연구팀은 동물이 피를 동력원으로 활용하듯 액체 배터리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전해액을 ... ...
1㎕ 체액만으로도 암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지난달 27일자에 발표됐다. 암
세포
가 커질수록 혈액 내 나노소포체 수가 증가함을 보여주는 모식도. (d) 혈소판 칩을 활용한 전립선 암 환자 (PC) 및 건강한 대조군 (HC) 유래 혈장 샘플의 플라즈모닉 반응 비교했다. IBS 제공 ... ...
가장 풍부한 포도당을 바이오연료로 바꾸는 고성능 미생물 공장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균주를 개발했다. 우선 로도코커스의 배양 조건을 최적화하고 포도당을 섭취시켜
세포
내 과량의 기름 ‘트리아실글리세롤’을 축적하도록 만들었다. 이어 선별한 외부 효소를 도입해 효과적으로 기름을 지방산으로 전환해 최고 농도의 지방산 생산 균주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또 지방산을 ... ...
[이강운의 곤충記] 기생충의 두 얼굴
2019.06.19
회충과 편충. 위키미디어 제공 알레르기는 기생충을 절멸시키면서 기생충과 면역
세포
사이에 유지되던 항상성을 깨뜨려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 자신의 조직을 손상시키는 것이라 한다. 기생충은 사람 뱃속에 들어와 염치없이 몸만 축내는 존재가 아니었고 알레르기성 질환을 잡아주는 ... ...
이전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