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00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촌평] ‘인보사’ 사태, 식약처 사과하면 끝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사실이 드러나자 세간의 관심은 온통 코오롱생명과학으로 쏠렸다. 어느 시점에
세포
가 뒤바뀐 사실을 알게 됐는지, 식약처에 허가를 신청할 때 허위로 자료를 제출한 것인지 등이 핵심 쟁점이었다. 거의 두달이나 이어진 ‘진실 게임’에서 식약처는 여론의 도마 위에 그다지 오르지 못했다. 5월 ... ...
AI 이용해 단기기억의 내부 작용 밝혀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것은 장기기억이 기억을 뇌에 저장하는 방식과 비슷하다”며 “장기기억은 다량의 신경
세포
간 복잡한 네트워크를 만들어내 기억을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프리드먼 교수는 “단기기억의 침묵과정은 마치 펜으로 무언가를 영구적으로 써놓는 것이 아닌 습기가 가득찬 거울에 손가락으로 무언가를 ... ...
고등학생 위한 국내 저명 생물학자들의 강연이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동향 소개와 다양한 주제의 강연이 진행된다. 참여 대상은 고등학생이며, 한국분자
세포
생물학회 홈페이지(www.ksmcb.or.kr)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신청 기간은 오는 21일까지다. ... ...
온도 제어
세포
배양 기술로 인체 유래 상피
세포
배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3차원
세포
배양 플랫폼은 모든 종류의
세포
를
세포
시트로 만들어 수확할 수 있다”며 “
세포
시트를 이용하는 재생의학 분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생체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스 사이언스’ 6월호에 발표됐다. ... ...
체내 원하는 곳 콕 집어 줄기
세포
운반하는 마이크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모사한 ‘체외 다중미세장기연결망’이라는 플랫폼을 만들어 마이크로로봇으로 암
세포
를 외부에서 배양된 간 조직에 정확하게 전달하는 실험에도 성공했다. 최홍수 교수는 “이 플랫폼을 만든 이유는 신체 외부에서 항암제를 암 조직에 투여했을 때 간이나 심장 등 주요 장기에 어떤 부작용이 ... ...
에이즈 유발 HIV 단백질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9
점은 HIV 단백질이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변이된다는 점이다. 외피 단백질이 인간 면역
세포
에 결합해 침투하는 과정을 저해하는 치료법이 제안됐지만, 변이체가 너무 많아 치료제 개발이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HIV 변이를 모두 분석해 전체 외피 단백질을 가장 잘 대표하도록 설계된 단백질 ‘콘엠 ... ...
[표지로 읽는 과학] 항암·맞춤치료 혁명 가져올 '오가노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9.06.09
관찰해 그 답을 찾고 있다. 제르니카-겟츠 교수팀은 지난해 3월 쥐의 배아줄기
세포
를 쌓아 인공 배아를 만드는 실험에 성공한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에 싣기도 했다. 당시 연구팀이 만든 인공 배아는 실제 쥐의 배아와 형태와 생리활성이 매우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 ...
신경
세포
가 가장 늙었다는 기존 학설 뒤집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고 말했다. 그는 "장기가 노화하는 현상도 단순히
세포
노화 때문이 아님을 깨달았다"며 "
세포
뿐 아니라 추후 DNA와 지질에 대한 수명 차이도 분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허젠쿠이가 교정한 '유전자편집 아기' 또 다른 위험 초래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댔다. 정상적인 CCR5 유전자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인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가
세포
에 붙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CCR5 유전자를 제거하면 에이즈에 걸리지 않는다. 그 결과 쌍둥이 중 한 명인 ‘루루’는 CCR5 유전자 쌍이 모두 제거되면서 돌연변이 유전자가 생겼다. ‘나나’는 CCR5 유전자 쌍 중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
2019.06.06
속속 밝혀지기 시작한다. 이 발견들은 모두 치오의 논문에 빚지고 있다. 이후 의학
세포
학이라 불리는 분야가 탄생했고, 태아의 염색체 이상을 검사하는 양수 천자 amniocentesis가 1960년대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염색체에서 보이는 이상현상은, 이른 시기 태아의 유전질환을 조사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 ...
이전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