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57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로바이러스가 장(腸)을 지킨다는데…
2014.11.23
유익한 바이러스와 그렇지 않은 바이러스를 분류하고 장내미생물과 어떻게 상호
작용
하는지 추가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숙주와 공생하는 수많은 바이러스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한 예시”라며 “바이러스가 항상 숙주에게 ... ...
신경세포끼리 이어주는 접착제 발견
2014.11.18
조울증 같은 신경 정신질환이 일어난다. 이전까지는 두 단백질의 결합구조와 구체적인
작용
기전이 규명되지 않아 치료제 개발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단백질 결정학기술과 바이오투과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신경세포를 연결하는 두 단백질이 결합한 3차원 구조를 밝혀내고 결합의 핵심이 되는 ... ...
암세포 지켜주는 단백질, 너였어?
2014.11.17
항암효과가 더욱 높아졌다. 항-오스테오폰틴 항체가 암치료를 막는 이 단백질의
작용
을 차단한 결과다. 강 교수는 “오스테오폰틴 항체에 대해 PCT국제출원을 마쳤다”며 “향후 항암치료에 오스테오폰틴을 타깃으로 하는 의약품을 첨가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런 스마트한 밀대 보셨나요?
2014.11.12
연구의 우수성을 알리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ACM UIST는 인간과 컴퓨터 간 상호
작용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국제학회로, 학회 기간 내 열린 콘테스트에는 미국 카네기멜론대, 조지아공대 등 세계 24개 주요 대학 팀이 참가했다. ... ...
“만성신장질환의 원인은 유해 중금속 납”
2014.11.10
혈액 속에 들어온 납의 99% 이상이 적혈구에 축적되는 점에 착안해 적혈구와 신장의 상호
작용
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혈중 납 농도가 높아지면 적혈구 표면이 변한다는 사실을 찾았다. 적혈구 세포막의 구성 성분 중 ‘포스파티딜세린’이라는 인지질 성분이 세포막 ... ...
삼켜도 안전한 ‘갑옷 배터리’ 개발
2014.11.04
되는 것 중 하나가 식도 등 소화기계 조직의 손상이다. 배터리가 몸속 조직과 전기화학적
작용
을 일으키면서 조직이 화상을 입는 것이다. 배터리를 소화액에 48시간 동안 담궈 둔 모습. 기존 배터리(왼쪽)는 장액과 반응을 일으켜 기능이 변했지만, 이번에 개발한 배터리(오른쪽)는 형체와 ... ...
몸속 물질 모방해 리튬 이차전지를?
2014.11.03
주로 쓰였다. 하지만 전극 무게를 높인다는 점에서 고용량 전지를 만드는 데 한계로
작용
했고 생산이나 재활용 과정에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연구진은 친환경적인 전극소재를 찾던 중에 세포의 에너지 대사 활동이 리튬 이차전지의 구동 원리와 비슷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대사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놀랍게도 비만을 치료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방법은 약물이나 행동 요법이 아니라 수술 요법이다.- 캐런 리안 등, ‘네이처’ 5월 8일자에 발표한 ... 그럼에도 개인차는 크다고 한다) 상당한 수순의 수술(특히 위우회술의 경우)이라 어느 정도 부
작용
도 있는 게 현실인 것 같다.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내 똥배는 정말 밀가루 때문일까?
2014.10.26
식물유전학자들의 확신만으로 안전성 검사 없이 세상에 나온 밀이 결국 오늘날의 부
작용
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그럼 뭘 먹으란 말이야?”라고 말하는 독자들에게 저자는 자신이 환자들에게 직접 처방한 대안 식단을 제안한다. 주식으로는 차라리 밀 대신 육류와 달걀, 생선을 채소와 함께 먹는 ... ...
야식이 비만·당뇨를 유발하는 이유
2014.10.26
밤에는 세균도 영양소를 소화시키고 증식하느라 바쁘게 움직이는 반면, 낮에는 해독
작용
처럼 스스로를 정리하는 단계에 들어가는 걸로 나타났다. 장내세균도 숙주와 비슷한 생체리듬으로 활동한다는 것이다. 쥐의 식사시간을 바꾸자 장내세균의 개체수와 활성도도 함께 바뀐다는 사실도 ... ...
이전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