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756건 검색되었습니다.
값싸고 성능 좋은 ‘꿈의 촉매’ 개발
2015.07.08
물을 분해해서 산소와 수소를 발생시키는 전극에 적용한 결과 인과 코발트가 상호
작용
하면서 전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험 결과 연구진이 개발한 인화코발트 촉매는 이리듐 촉매와 비슷한 조건에서 같은 양의 전기를 생산하며 12시간 동안 물분해를 시켜도 ... ...
美 스탠퍼드大 한국인 과학자들, 차세대 이차전지 활로 찾았다
2015.07.07
이석우 선임연구원(왼쪽)과 이현욱 박사후연구원. - 한국연구재단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출신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원들이 리튬이온전지의 ...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러 개의 나노기둥이 있을 때 입자간의 상호
작용
이 발생해 구조가 파괴되지 않았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 ...
인슐린 생산량 조절하는 물질 찾았다
2015.07.05
두 마이크로RNA는 핵심 염기서열이 동일하기 때문에 인간에게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
할 것으로 추정된다. 유 연구원은 “사람의 miRNA-9를 인공적으로 합성한 뒤 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까지 전달하는 방식으로 비만과 당뇨병을 치료하는 가능성이 열렸다”며 “마이크로RNA는 혈액에도 녹아 ... ...
대학 수학 잘 하는 비법은 있을까
2015.07.05
이야기하는 ‘놀라운 가설’은 인간의 의식이 머릿속 뉴런(신경세포) 덩어리, 즉 상호
작용
하는 수많은 뉴런 집합의 움직임이라는 발상에서 출발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자신이 연구를 통해 얻은 중간 결과를 내놓는 데 그치지 않고 후배 과학자들에게 의식의 문제를 진지하게 다룰 것을 매우 ... ...
달달한 장미향 만드는 효소는?
2015.07.03
연구진이 이 단백질의 기능을 조사한 결과 장미에서 모노테르펜류가 합성될 때 효소로
작용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곽준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기초과학연구원 식물노화·수명연구단 그룹리더)는 “그간 장미는 꽃의 색깔 등 관상학적인 면에 치중해 육종하면서 향이 많이 ... ...
[광화문에서/윤신영]은유로서의 질병
동아일보
l
2015.07.01
싸울 수밖에 없다. 일본의 평론가 가라타니 고진은 “‘병과 싸운다’는 것은 병이 마치
작용
하는 주체로 존재하는 것처럼 간주하는 말투”라고 지적했다(‘일본 근대 문학의 기원’). 질병은 추상이었는데 마치 뭔가 구체적인 존재처럼 취급되게 됐다. 이 지적은 지금도 유효해서 우리는 지난 한 달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이동 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휴보의 만능성은 대회 도중 적잖은 강점으로
작용
했다. 다른 팀이 걷기나 바퀴, 무한궤도 중 한 가지만 선택한 것과 달리 휴보는 어떤 환경에도 적응할 수 있었다. 바퀴로 이동할 때는 전진과 후진이 모두 가능하고, 양 바퀴를 교차로 회전시켜 제자리에서 재빨리 ... ...
PART 01. 光의 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06.30
모든 의과학분야에서 안 쓰는 곳이 없습니다. 레이저는 빛 중에서도 생체조직과 상호
작용
이 가장 잘 일어나거든요. 라식수술과 같은 시력교정수술을 할 때 레이저로 각막을 깎아 내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레이저메스라고 해서 수술용 메스 대신 사용하기도 합니다. 뇌나 간은 수술할 때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단단한 부위가 생기는데 이런 상태에서 침식이 일어나면 단단한 부분이 골무나 모자처럼
작용
해서 그 아래의 석회암을 보호한다. 이 부위는 침식에 좀더 오래 견뎌 남게 되고, 단단한 모자가 없는 주변은 먼저 침식된다. 실제로 잘린 피너클을 보면 나뭇결 무늬가 보이기도 해 이 이론이 그럴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놀자”라고 하면 축구공을 떠올리는 연상
작용
을 한다. 장 교수는 “이 같은 연상
작용
이 거듭되면 지능이 창발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장 교수는 “현재 발표된 창발 현상의 일부는 기계가 우연히 내놓은 결과를 사람이 자의적으로 ‘지능이 생겨났다’고 말하는 것”이라며 ... ...
이전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