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d라이브러리
"
세계
"(으)로 총 10,358건 검색되었습니다.
싱글족의 함정
과학동아
l
200711
소금과 카페인에 노출된 일상 실험에 참여한 두 사람 모두 나트륨의 하루 섭취량이 WHO(
세계
보건기구) 권고량인 2000mg을 훨씬 초과했다. 식당에서 음식을 자주 사먹거나 인스턴트식품을 먹어 나타난 결과였다. 예를 들어 5일째 되던 날 정 씨가 섭취한 나트륨 양은 6700mg으로 기준치의 3배가 넘었다.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
과학동아
l
200711
소식이 전해지자 시민들은 축제 분위기를 밤새 이어갔다. 이로써 말레이시아는
세계
에서 35번째로 우주인을 배출한 국가가 됐다. 1만1000대 1 경쟁률 뚫고 선발돼소유즈는 6개월마다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우주인 3명을 실어 나른다. 따라서 말레이시아가 다음 발사 예정일인 2008년 4월 8일 첫 ... ...
뼈를 얻은 벅스버니, 도널드 덕, 톰과 제리
과학동아
l
200711
톰과 제리.어린 시절 밥 먹는 것도 잊어버리고 볼 정도로 재미있던 만화다. 제리를 못 잡아 안달인 톰은 결정적인 순간에 조그만 쥐구멍으로 숨는 제리의 꾀에 속아 넘어가 항상 벽 ... 이것이 대중문화의 환영(幻影) 속에서 가상의 화석을 발굴해내는 ‘고고학자’ 이형구의 작품
세계
다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11
않은 셈이다. *CNS 저널‘셀’(Cell), ‘네이처’(Nature), ‘사이언스’(Science)의 앞글자로
세계
에서 영향력이 가장 큰 저널의 대표주자들. 많은 과학자들이 CNS 저널에 논문을 싣는 날을 꿈꾸며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줄기세포의 화려한 부활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 ...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
과학동아
l
200711
결국 우리은하에 모두 흡수될 것으로 예상한다. 공허하고 조용할 듯 보이는 은하의
세계
에도 약육강식의 법칙이 통하는 셈이다.이달의 천문현상_소행성 세레스를 찾아보자. 1801년 1월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주세페 피아치가 황소자리에서 새로운 행성을 발견했다. 당시 천문학자들은 화성과 목성 ... ...
수학으로'돈의 흐름' 쫓는다
과학동아
l
200711
수학과에서 위상기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난 뒤 KAIST에서 강의를 하면서 수학을 현실
세계
에 응용할 수 있는 분야를 찾기 시작했다. 주위에서는 생명공학에 기하학을 응용하는 분야를 추천해주기도 했지만 그에게 생명공학은 너무 생소했다.그런 가운데 눈에 들어온 분야가 사회현상에서 뽑아낸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11
넘치는
세계
각지의 학자들이 찍은 사진이 공개됐다. 이 이미지들은 과학과 예술이 합심해 이뤄낸 결과물이다. 과학저널 ‘사이언스’와 미국과학재단(NSF)은 지난 10월 1일 ‘2007년 과학기술 시각화 대회’ 수상작을 발표했다. 과학자의 연구결과를 대중에게 널리 알리려는 취지로 마련된 이 대회는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과학동아
l
200711
새로운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6단계에서 2단계로 좁아진 세상전
세계
적으로 인터넷의 흐름을 보면 야후 같은 1세대 커뮤니티형 포털의 뒤를 이어 구글 같은 2세대 검색형 포털이 등장했다. 몇 년 뒤에는 인맥과 정보를 공유하는 SNS 방식의 3세대 포털이 현재의 야후와 구글 같은 위치에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11
오히려 한반도의 경도에 맞는 시간을 사용했다고 할 수 있다. 경도선은 1884년부터
세계
적인 합의를 거쳐 그리니치 표준으로부터 15° 간격으로 같은 시간대를 배분했다. 우리가 천문학적으로 합당한 시간을 쓰려면 서울을 통과하는 동경 127°의 표준시를 써야 하지만, 다른 나라와 30분 차이가 나는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11
있죠. 둘째는 도구의 발달을 통해서입니다. 17세기 로버트 훅이 현미경을 발명하면서 미시
세계
를 볼 수 있게된 것처럼 말입니다.”다차원분광학이란 학문은 어쩌면 차기 과학혁명을 이끌 새로운 ‘도구’일지도 모른다. 이 놀라운 도구를 손에 쥔 조민행 교수는 포스트게놈시대의 주역으로 주목받는 ... ...
이전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