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d라이브러리
"
세계
"(으)로 총 10,35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백신이 여는 질병 치료 르네상스
과학동아
l
200710
됐다.앞으로는 부작용과 요요현상 없이 비만을 다스릴 수 있는 백신이 나올 전망이다.
세계
적으로 비만백신은 2종류가 개발되고 있다. 하나는 한양대 생명과학부 김효준 교수가 개발한 비만백신이다. 지방을 몸속 각 조직으로 실어 나르는 운반체인 저밀도지질단백질이나 초저밀도지질단백질등이 ... ...
두얼굴의여친 다중인격장애
과학동아
l
200710
가질 수 있다. 실존 인물인 미국의 빌리 밀리건은 1977년 납치와 강간혐의로 기소됐다가
세계
최초로 다중인격장애를 인정받아 무죄를 선고받았다. 빌리 역시 자신의 행위를 기억하지 못했고, 애초에는 10개의 인격을 갖고 있다고 알려졌지만 치료가 진행되면서 14개의 인격이 더 발견됐다. 맘만 ... ...
'트위스트' 춤추는 59층 빌딩
과학동아
l
200710
각 층이 따로따로 회전하는 빌딩이 두바이에 건설될 예정이다.이탈리아의 건축회사 ‘다이내믹 아키텍쳐’가 최근 홈페이지에 공개한 ... 따라 유동적이라 풍력발전만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바레인
세계
무역센터도 전체 전력의 15% 정도만 풍력발전으로 충당한다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10
미국의 의약품 제조업체인 G D 설사(社)가 개발했다 한국에서는 1984년에 일본에 이어
세계
에서 세 번째로 개발에 성공, 85년부터 시판하고 있다 아스파라긴산이라고도 한다 유리된 상태로는 보통 L-아스파르트산으로서 동물 · 식물에도 존재하며 특히 사탕수수와 사탕무의 당밀에 많다 L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10
일년에 50병 넘게 써
세계
적으로 페트병 수요가 급증하면서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전
세계
에서 일년에 나오는 페트병은 150만톤에 이른다. 병 하나당 페트 30g이 들어간다면 500억병인 셈이다. 우리나라도 매년 25억병을 만든다. 국민 1인당 50병이 넘게 돌아간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페트병이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10
적 위성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위성 등이 있다. 나아가 미국은 소형위성을 활용해 전
세계
어느 지역이라도 수십분 안에 공격할 수 있는 구상(Global Strike)을 추진하고 있다. 주먹만한 초소형위성의 위력을 실감할 날도 머지않아 보인다.비교체험 인공위성 극과극0.2kg 초소형 JAK 대 472톤 슈퍼헤비급 ISS19 ... ...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
과학동아
l
200710
예측했는지는 겨울에 드러날 것이다.만약 WHO가 예측한 바이러스의 정확도가 낮다면 전
세계
독감 환자 수가 증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 돌연변이에 대항할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요즘은 매년 접종할 필요 없이 한 번만 접종해도 다양한 바이러스를 한꺼번에 방어하는 ‘유니버설 백신’ ... ...
당신의 사랑 유형은?
과학동아
l
200710
가지는 특성에도 주목했다. 남녀 모두 열정적인 사랑, 즉 에로스적 사랑을 선호했다.
세계
적으로 사랑받는 소설‘로미오와 줄리엣’은 아름다운 영혼을 가진 두 주인공의 사랑과 비극적 결말로 유명하다. 하지만 최후를 맞기 전에 두 주인공이 벌인 아름다운 첫날밤 이야기를 읽으면서 여러분 자신이 ... ...
국내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권위자 박성배
과학동아
l
200710
“IT, BT, 나노기술, 로봇기술이 펼칠 미래 혁명의 중심이 바로 CPU”라고 말했다.CPU 분야는
세계
반도체시장에서 4분의 1을 차지하지만 한국 기술이 아직 부족하다고 느끼는 박 상무는 학생들에게 큰 기대를 걸었다. “앞으로 아이폰처럼 상상력이 중요한 IT제품에는 CPU의 비중이 커질 겁니다. 물은 왜 ... ...
그녀에게 자꾸만 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10
궁금증을 풀기 위해 이 책을 읽었다. 저자는 과학의 참의미를 깨닫기 위해 먼저 명확한
세계
관을 세우라고 주문한다. 이어 탈레스를 시작으로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칸트, 헤겔로 이어지는 철학의 흐름을 과학기술과 접목시켜 설명한다.이 책 덕분에 ‘철학사’를 ‘과학사’와 연결 지어 바라볼 수 ... ...
이전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