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해"(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비장이 이식됐다는 사실을 비장 하나하나가 인지하고, 모두 합쳐 하나의 비장을 만들기 위해 6분의 1 크기로 자랍니다. 흉선처럼 장기의 크기가 고유한 값으로 정해지는 사례를 하나 더 소개해보겠습니다. 미국 오스본에 있는 동물학연구소 연구팀이 1931년에 발표한 실험입니다.doi: 10.1002/jez.1400590105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어쩌면 뜬구름과도 같은 말일 수 있다. 하지만 조금만 들여다보면 이들이 자신의 미래를 위해 꼭 알아야하는 내용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저자는 미래 주역의 청소년에게 과학계의 최전선에서 관찰한 4차 산업혁명의 실체와 이로 인해 예상되는 변화를 이야기한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 ...
- [인터뷰] 세종과학고 입학홍보부장 박종찬 “새로운 문제 만드는 훈련 해보길”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간 세종과학고는 기출문제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작년부터는 학생들의 준비를 돕기 위해 홈페이지에 전년도 기출문제를 공개하고 있다. 박 부장은 “문제가 어려워 보이지만, 중학교 수준의 지식으로 충분히 풀 수 있도록 출제하고 있다”며 “평소 주어진 문제를 스스로 변형해 새로운 문제를 ... ...
- [이투스교육] 국제 분업과 무역 & 자산 관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2. 자산 관리 소비 생활은 평생, 소득 얻는 시기는 한정개인의 안정적인 경제생활을 위해서는 자산 관리가 중요하다. 자산 관리는 생애 주기에 따라 계획적으로 해야 한다. 소비 활동은 일생에 걸쳐 꾸준히 이뤄지지만,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시기는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소득이 없는 시기에도 ... ...
- [이투스교육] 연세대 논술전형 분석 및 대비전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높다. 따라서 지원을 고려하고 있는 수험생의 경우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특히 국수영과 전 영역이 모두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올해 논술 고사일은 수능 직후 토요일인 11월 17일이다. 이는 수시 6회 지원 전략과 논술고사 대비 학습 측면에서 중요한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χ≥4를 증명하기 위해서 3색으로 칠할 수 없는 점 7개를 소개했는데요, χ≥5를 보이기 위해 훨씬 더 많은 점을 사용한 것이지요. 저는 수학자가 한 연구도 아니고 해서 이 논문에 관심을 갖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며칠 뒤 컴퓨터로 연구를 검증했다는 학자들이 여럿 나타났고, 결과가 참이라는 것이 ... ...
- [매스미디어] 용의자 X의 헌신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경우다. 이 두 경우의 관계를 찾는 문제가 P≠NP 문제다. 이시가미는 야스코를 구하기 위해 명확한 진술 내용을 형사에게 내밀며 자신이 범인이라 자수한다. 이시가미는 허점 없는 답을 고안해 냈다. 찾기 쉬운 답을 낸 것이다. 그러나 이 답이 맞는지 틀렸는지 확인해야 한다. 쉽게 확인할 수 있을지 ... ...
- [DJ CHO의 롤링수톤] 흥 부자들이 모이는 통계적 진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일반적으로 0.6~0.7부터 허용할 만한 신뢰도로 봅니다. 노스 교수팀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설문 성실도까지 조사해 제대로 대답하지 않은 사람의 설문지는 제외했습니다. 질문 중간에 가상의 음악 장르를 넣어놓고, 이 질문에 모르는 음악이라고 대답하지 않은 사람은 조사 대상에서 빼버리는 ... ...
- [수학공작실] 정십이면체 플라워볼 달력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케플러는 지구 밖 5개의 행성과 플라톤 다면체의 관계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 훗날 케플러는 행성의 궤도가 원이 아니라 타원이라는 사실을 밝혀냈고, 케플러의 법칙을 발견해 물리와 천문학의 판도를 바꿨다. 수학을 즐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손으로 직접 만들어 보는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4.34번이면 맞힌다!크누스 교수 외에도 많은 사람이 암호를 찾는 알고리듬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1993년에는 컴퓨터 공학자 켄지 코야마와 토니 라이는 평균 4.34번 만에 암호를 맞힐 수 있는 방법을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많아봐야 6번 만에 맞힐 수 있습니다. 2005년에는 미국 ... ...
이전4314324334344354364374384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