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d라이브러리
"
구조
"(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우주선을 발사해 표면에 각종 측정기기와 송수신기를 설치해서 물리적 특성과 지질
구조
를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필요한 경우 2014~2024년 사이에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태양풍 돛 이용해 소행성 밀어낸다그렇다면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 또는 혜성의 궤도를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만들어 전 세계에 온라인으로 서비스 할 계획이다. 올 연말쯤에는 단백질
구조
를 연구하는 생명공학자들이 ‘사이버 도서관’을 만나볼 수 있을 전망이다 ... ...
산불과의 전쟁에 나선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설치하는 댐 모양의 시설이다. 밑에 입구가 있어 물고기가 지나갈 수 있는 친환경적
구조
물이다.국립산림과학원 복원연구실 임주훈 박사는 “지난 2000년 발생한 삼척 산불 지역에 이같은 공법을 시범 도입했으며, 이번 양양 산불 지역에 본격 적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크고 두꺼워야 불에 강한 ... ...
수천개의 젊은 별들이 만들어낸 무서운 우주 독거미 타란툴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사방으로 빛과 입자를 강하게 내뿜고 있다. 이 때문에 거미의 다리처럼 보이는 가는 실
구조
가 만들어진다. 또 강한 빛과 입자는 성운 전체가 빛날 수 있는 에너지를 제공해준다.타란툴라성운 주변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성운의 바깥쪽으로 접근해 오는 몇몇 검은 구름이 눈에 띈다. 가스와 구름이 ... ...
걸음걸이 돕는 힘줄 지킴이 무릎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관절은 사람과
구조
가 비슷하지만 보이는 위치가 달라서 그 이름을 오해하기 쉽다. 예를 들어 새의 다리나 기어다니는 짐승의 다리를 보면 무릎관절이 사람과 달리 뒤로 볼록한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발목관절이며 무릎관절은 그보다 위에 있다. 즉 새나 기어다니는 짐승들은 발꿈치를 ... ...
식물도 조각퍼즐을 좋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건재하듯이 단순한 6면체 형태의 세포가 모인 것보다 조각퍼즐처럼 요철이 맞물린
구조
가 훨씬 견고하다.연구자들은 세포에서 스위치로 작동하는 일련의 단백질을 발견했는데 이들은 세포의 한 부분이 돌출해 자라게 명령하는 동시에 닿아있는 다른 세포의 부분은 밀려들어가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 ...
컴퓨터, 유해물질에 로그인!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있는 브롬 난연제는 혈중 농도가 나노그램(ng, 1ng=10-9g) 수준으로 매우 낮은데다 비슷한
구조
의 종류가 200가지가 넘기 때문에 분석이 매우 어렵다. 6가지 유해물질 중 중금속은 다양한 분석방법이 개발돼 있지만 브롬 난연제는 세계적으로도 아직 공인된 표준분석방법이 없다. 그렇다고 다른 난연제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연구가 중심이 되고 있다.영양유전체학은 두 가지 연구 분야로 나뉜다. 개인별 유전적
구조
의 차이가 식품 섭취 후 대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는 ‘영양유전자학’이 그 중 하나. 임상의학과의 결합이 필수다. 이를 응용하면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영양소 요구량을 결정해 질병을 예방하고 ... ...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넘게 발달한 대보초(Great Barrier Reef)가 유명하다. 대보초는 생물이 만들어놓은 가장 큰
구조
물로 달에서도 보인다고 한다.환초(環礁)는 고리 모양의 산호초다. 남태평양 대부분 섬은 환초다. 환초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화산이 폭발해 해수면 위로 섬이 솟으면, 시간이 흐르면서 섬 가장자리에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아니라 초파리에서도 보인다.그런데 자연계에서 쓴맛을 내는 분자는 수천가지나 되고
구조
도 다양하다. 따라서 쓴맛 수용체, 즉 쓴맛을 내는 분자와 결합해 그 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의 종류가 하나 뿐이라면 이들을 모두 감지하지는 못할 것이다. 지난 2000년 쓴맛 수용체의 유전자가 발견되자 이런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