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d라이브러리
"
구조
"(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온 통증 느끼는 피부 단백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분포한다는 점을 처음 밝혔다”고 말했다.그동안 피부는 신체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
물로만 여겨져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피부가 외부 통증을 직접 감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는 사실이 규명된 것.황 교수는 “TRPV3이 온도뿐 아니라 염증으로 인한 통증도 담당한다”며 “캠퍼를 이용해 좀더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인공
구조
체가 방사형일 때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아직까지는 인공
구조
체의 효율이 광합성의 10분의 1에 그친 정도다. 기술적으로 3차원 공간 배열이 어렵고, 분자 배열시 표면을 고르게 만드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는 빛 알갱이 하나를 에너지원으로 삼는 ... ...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투여했더니 지방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이 활성화된 것. 연구팀은 오스모틴의 화학
구조
가 당 흡수를 방해하는 아디포넥틴과 비슷하다는 것도 확인했다. 그렇다고 과일만 먹으면 살이 찌지 않는 것은 아니다. 과일에는 당분이 많아 채소보다 당지수가 일반적으로 더 높기 때문. 손숙미 교수는 ... ...
초고강도 바리캉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새로 개발된 면도날 제작기술은 빠른 속도로 가속된 양이온을 날표면에 충돌시켜 내부
구조
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날 표면을 코팅하는 기존 방식보다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호에서는 초고강도 바리캉 제작 과정을 소개한다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산란장치가 완성되면 고분자물질, 단백질 집합체, 금속 세라믹, 초전도체 등 국내 나노
구조
연구에 탄력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연구단 박경배 단장은 “이번 냉중성자 사업은 하나로가 동북아 지역의 핵심 중성자 산란연구센터로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강조했다.연구단은 오는 4월1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수 있는 정보처리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즉 정보를 다시 통합해 각 형태의 특징들 간
구조
적 관계를 파악하고, 3차원 입체 정보도 포함시켜 대상을 인식한다. 실제로 뇌의 시각경로에 있는 신경세포들은 정보처리의 초기 단계에서는 좁은 시각 영역에서 수평선이나 수직선 같이 단순한 선분의 ... ...
철분이 부족해? 선짓국 먹어봐! 적혈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가열하면 변성돼 기능을 상실한다. 게다가 소의 헤모글로빈과 사람의 헤모글로빈은
구조
가 다르다. 때문에 선지를 먹는다고 해서 우리 몸 안에 피가 많아진다고 볼 수는 없다. 단 소 혈액의 헤모글로빈에 있는 철분은 사람 몸에 흡수된다. 따라서 철분이 부족해 헤모글로빈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 ...
신이 내린 선물 곰팡이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방어망을 쉽게 피할 수 있다. 포자에서 다시 곰팡이가 자라나고 이 곰팡이가 곤충 내부의
구조
물을 공격하고 분해해 결국 곤충이 죽게 된다. 대부분의 곤충병원성 곰팡이는 이런 공격 기술을 이용한다.곤충을 죽이는 곰팡이는 주로 깊은 산속처럼 사람의 손길이 잘 닿지 않은 곳에서 관찰된다.이 ... ...
파리에 가다, 과학에 취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지구의 가장 바깥 부분인 지각은 몇 개의 커다란 판으로 이뤄져 있대. 수업시간에 ‘판
구조
론’이란 것을 배웠는데 라빌레트 과학관에서 뭘 본 줄 알아? 손으로 여러 판을 움직이는 장치야. 둥근 운전대를 돌리면 지구의 역사에 맞춰 판이 움직이는데 마지막에는 인도판이 아시아판과 부딪혀. ... ...
연세대, 선충 수명 10배 늘려주는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다우몬’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물질을 분리 및 정제해
구조
까지 규명했다. 백 교수와 함께 연세대 화학과 정만길 교수, 연세프로테옴연구센터 정판영 연구원 등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2월 3일자에 주요 논문으로 실렸다.선충은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