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장"(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문제를 풀었을 때 느끼는 희열이 제 원동력입니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공유하도록 데이터를 ‘블록’ 형태로 묶고 그들을 다시 암호 체인으로 연결해 안전하게 저장하는 기술이다. “문제를 풀었을 때 느낀 그 짜릿한 희열을 맛보고 싶어 계속 도전해왔는데, 기업에서는 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우니 행복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그 꿈을 이루기 위해 현재 새로운 도전을 ...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바로 응용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베너 박사도 “이번 연구 결과는 DNA 데이터 저장 분야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며 “앞으로 5쌍, 6쌍까지 염기쌍을 계속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고려대-SK하이닉스, 연세대-삼성전자 반도체 인력의 세대 교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신경망으로 이뤄진 뇌가 연산, 저장, 통신 기능을 한꺼번에 하듯, 하나의 칩으로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게 만드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서 새로운 반도체 소자가 필요해 재료 공학 분야에서도 연구가 활발하다. HBM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김 센터장은 “인공지능 에 사용될 시스템반도체는 ...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과학동아 l2019년 06호
- 1학년)은 “항상 생물다양성을 위해 갯벌을 지켜야한다는 얘기만 들었는데, 탄소 저장이라는 새로운 시각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며 뿌듯해했다.박 책임연구원은 “8월 열대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축주에서 열대해양캠프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여기서 더 새로운 해양생태계의 가치를 직접 ...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것이다. 물론 잠수함과 마찬가지로 우주선에 탑승한 우주인의 생존 또한 우주선에 저장된 산소가 책임진다. 현대 화학에서 산소에 관한 가장 중요한 도전 과제는 인공적으로 산소를 생성할 수 있는 인공 광합성이다. 일반적으로 산화물을 분리해 산소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누구나 자신만의 포켓몬 도감이 있다. 포켓몬을 잡으면 그 정보가 자동으로 도감에 저장된다. 게임에 등장하는 모든 포켓몬이 수록된 백과사전 같은 큰 도감도 있다. 인터넷에서 ‘포켓몬 전국도감’을 검색해 보라. 수많은 포켓몬들의 속성이 세세하게 기록돼 있다. 심지어 키와 몸무게까지도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반도체 구조가 아닌 인간 뇌의 물리적 구조를 모방한 반도체다.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읽어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존 컴퓨터의 반도체 구조는 정보의 병목 현상, 무어의 법칙(반도체 집적회로의 메모리 용량과 속도가 1년 6개월마다 두 배 증가한다는 내용) 등 한계가 많았다 ...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단계다. 특히 연료전지 분야의 경우 가볍지만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수소를 경제적으로 저장하는 기술을 먼저 개발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수소를 에너지로 쓰는 기술 중 백미는 단연 핵융합이라고 할 수 있다. 핵융합은 고온에서 가벼운 원자핵끼리 융합해 더 무거운 원자핵을 만들면서 ... ...
- 전자회로도 3D프린터로 인쇄하세요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후처리 없이 간단한 공정만으로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수준의 고성능 전기저장장치를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17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나노잉크로 사용되는 은나노와이어는 은입자가 무작위로 붙어 있어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개별 단어의 의미는 대뇌피질 측두엽에 위치한 언어중추인 베르니케(Wernicke) 영역에 저장돼 있다. 베르니케 영역은 단어를 떠올리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1874년 독일의 신경정신의학자 칼 베르니케가 처음 발견했으며, 베르니케 영역에 이상이 있으면 실어증이 생긴다. 단어들을 여러 개 연결해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